728x90
반응형

자~ 드디어 아파치를 설치 해보자..
일단 프로그램을 다운받자..(종속프로그램도 모두 다운을 받자..혹시 모르는 경우를 대비해서..)


여기 중요한것은....Tomcat과 연동을 하기위해서는 패키지 설치로 하면 잘 안된다는 것이다..
(왜 안되는지 잘은 모르겠지만...ㅡ.ㅡ;;)
그리고 패키지로 설치하면 $APACHE/conf/httpd.conf 파일이 없다..
이게 왜 없는지는 잘 모르겠다...어디서 만들어줘야 하나???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 
제길...

그래서 결국 소스버전으로 설치를 하기로 했다...위 화면에서 패키지 버젼말고 밑으로 조금만 눈을 내리면 소스버젼이 있으니 그것을 받도록 하자~

그리고 설치하자...

1. 받은 파일을 gunzip으로 압축을 풀고 tar도 풀자~


2. 압축이 풀린 폴더로 이동하여 
# configure --enable-so --enable-mods-shared=most
명령어를 실행하자.


3. make를 실행하자. 
(make는 솔라리스 설치시 설치 되었는데..난 그거 모르고 새로 설치를 해버렸다..ㅡ.ㅡ;)

* 주의
1. /.profile에 PATH가 추가되어 있어야 한다. (/usr/ccs/bin)
2. /.profile에 LD_LIBRARY_PATH가 추가 되어있어야 한다.
(export LD_LIBRARY_PATH=/usr/local/lib:/usr/lib)



4. 에러없이 make가 실행 됬다면 make install을 실행한다.


5. 설치가 끝났다면 /.profile PATH에 아래 경로를 추가해준다.


6. 설치된 /usr/local/apache2/conf/httpd.conf 파일에 아래 부분을 수정해준다. 

* 주의
1. 솔라리스에서는 Group #-1 을 그냥 두고 실행하면 안된다..왠지는 모른다..근데 정말 안된다..
2. ServerName을 도메인명 or IP로 설정한다.


7. 아파치를 실행한다. 잘되는지 프로세스도 검사~


8. 자~ 이제 웹으로 확인해보자~!!!!



오늘 아파치 설치할려고 생각한 뻘짓은...정말..한도 끝도 없다...ㅡ.ㅡ;;
제길...뭐 그래도 얻은게 크다~

휴~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오늘은 어제에 이어서 나머지 설치를 해야하는데...;;;
약간 난이도가 있을것 같다...좀 복잡한게 남은듯..ㅡ.ㅡ;;

일단은 postgrSQL을 다운을 받자~!!




우선...postgreSQL... 이건 뭘까..?? database인건 알겠는데...처음 들어보는 거다...
일단 꽁짜니깐..MySQL 정도라고 생각하고 넘어가자~!!!!


자~ 일단 패키지로 받았기 때문에 어제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를 해보자~!!


(pkgadd 화면은 너무 길어 생략하겠음..!!)

설치가 다됬으면 설치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패키지의 기본 설치디렉토리는 /usr/local 이다.)


데이터베이스를 초기화 해준다.

근데...ㅡ.ㅡ;;;
아래 메세지가 나왔다..


이런젠장...ㅡ.ㅡ;;
음..뭔가 폴더가 있어야 하는가 보다...ㅡ.ㅡ;;

찾아보니 data 폴더를 postgres 라는 권한자를 생성하여, pgsql 폴더 밑에 data 폴더를 만들고 권한을 준다...
일단 난 패키지 설치를 했기 때문에, /etc/passwd를 보니 postgres 라는 사용자가 자동으로 추가 되어있었다..


UID와 GID가 90이다... 일단 확인 완료~!!!!

그럼 이제 data 폴더를 만들고 실행~!!!



제길...이번엔 root 권한으로 하지 말란다...ㅡ.ㅡ;; 장난하냐~!!!!!
그럼 일단 다시~ data폴더의 권한을 변경후 postgres로 계정 변경을 하고, 실행!!!!!




(중간 생략...)



마지막에 위 그림처럼 메세지가 나오면 성공!!!!! (휴~ 힘들군..)

위 작업으로 기본데이터베이스가 생성이됬다..
그럼이제 데이터베이스를 가동해보자~!!!!!!



ps 명령어를 실행하여 지금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해 본다...위 그림에 프로세스번호 1425 확인~!
역시 ps에서도 1425가 확인 된다...(postgres)



이렇게 되면 데이터베이스가 동작 된거라고 한다~

그럼 이제 로그인을 해보자~


'template1=#' 이것이 명령어 대기 쉘이라고 한다...(모양한번 이상하네.ㅡ.ㅡ;;)

자~ 이제 해야할것이 있다...바로 postgres 패스워드 변경, 그리고 postgres를 패스워드 모드로 작동하게 하는 변경 작업이다. (postgreSQL은 기본적으로 아무나 접근이 가능하다고 한다...왜일까?? )

우선 패스워드부터 변경을 해보자~ (작업하다가 약간의 오타가 났다..ㅡ.ㅡ)



일단 빠져나온 후, /usr/local/pgsql/data/pg_hba.conf 파일을 수정한다.



pg_hba.conf 의 내용중 아래 trust를 password로 변경해준다..



그리고 재구동하고 다시 로그인을 해보자~!!!
어라~ 근데...중지를 못한다..ㅡ.ㅡ;;


일단 뭔지 모르겠지만...아까 postgreSQL을 빠져 나올때 ctrl+z 로 나와서 그런것 같은 느낌이 든다...
설명서를 읽어보니 종료하는 벙법이 몇가지 적혀 있는데 fast 로 리스타트를 해보겠다..




일단 restart 성공~!!!

다시 로그인을 해보자...



자~ 비밀번호를 물어본다..ㅋㅋ

설치 성공...!!!

무려 4시간동안 설치했다..ㅡ.ㅡ;; 힘들다...;;;;;;;;;

참고: 몇가지 유용한 팁!
\q: 나가기
\d: 테이블목록 확인
\d 테이블명: 테이블상세 보기
\?: 관리쪽 명령어 보기
\h: SQL 명령어 확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음...이제는 점점 설치의 속도가 붙는것 같다...;;

뭐 패키지 설치는 간단한거기에...ㅋㅋㅋㅋㅋㅋㅋㅋ

이번에는 zlib다...이름에서 알수있듯이..이건 라이브러리 이다..

뭐할때 쓰는 라이브러리냐~하면...압축 프로그래밍을 할때 쓰는 라이브러리 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사이트를 참조


다운로드와 설치는 아래를 참조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자~ 이제 readline을 설치해보자...
근데..이건 또 뭐냐...readline... 무슨 함수같기도 하고..ㅡ.ㅡ;;

인터넷을 좀 검새해보니 자세히 나온것을 찾을 수는 없었다..

다만 wikipedia에 설명이 나온것 같다..참고해서 보도록 한다...(단, 영문이다..!!ㅋㅋ)



이것도 설치하는 방법을 구지 글로 쓰지는 않겠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제 다음으로...넘어가야하는데...ㅡ.ㅡ;;
gdbm이라...뭐지?? 제길...
(참고로 지금 설치하는 목록들은 이번에 새로들어가는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환경을 맞춰주기 위해 설정하는 것이다.)

gdbm...일단 모르고 설치를 하는 것 보다...알고 설치를 하는 것이 좋을것 같아..
그래서 약간의 조사를 해보자...!!

* gdbm 이란?
 - 리눅스용 DB 라이브러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여러가지가 존재한다고 한다.
그러나 그 중에서 임베디드에 가장 적합한것이 GND dbm이다.
GND dbm을 간단히 gdbm이라고 부르며, gdbm은 다른 DB라이브러리에 비해 크기가 작고, 검색속도가 빠르므로 임베디드용에 적합하다.

(음...간단히 DB 라이브러리 군....근데 임베디드용이라...ㅡ.ㅡ;;)


일단 다운부터 받자...!



자~ 이제 설치를 시작하자 설치는 gcc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한다.
(특별히 설명을 하지는 않는다...)



설치가 끝나면 경로 설정같은 것은 안해줘도 되나?????????????????????
모르겠다..ㅡ.ㅡ;;

일단 넘어가자...혹시 이부분에 대해서 안다면 댓글 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음...이부분은 원래 처음으로 해야하는 건데...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그냥 넘어갔던 부분이다...

관리자도 환경설정을 해줘야 한다는..ㅡ.ㅡ;;;

뭐 일단 모르는 것이였는데...한번 따라해봤다...

참고글..이라고 하기엔 뭐하지만...보고 쓴글...

1. 자신의 개인적인 환경설정
1) login shell 변경

#passwd -e

2) $HOME/.profile 생성과 편집
기본적으로 root(관리자)에게는 .profile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원형파일을 복사하여 사용한다. vi로 자신에 알맞은 환경을 설정한다. 그리고 실행..

#cp /etc/skel/local.profile $HOME/.profile
#vi $HOME/.profile



3) $HOME/.kshrc 생성 및 편집

#vi $HOME/.kshrc
파일 작성후 
#ksh
#. $HOME/.kshrc



2. vi 편집기에 대한 환경설정

#vi $HOME/.exrc
파일 작성후
#. $HOME/.exrc



3. 전체적인 설정을 확인
1) 로그인 쉘을 확인
   
2) 쉘 프롬프트를 확인
   위 그림보면 변경이 된것을 알것이다...
3) vi 환경설정 확인
    () <------ ()을 입력해 보면 커서가 움직이게 된다.





아~ 어렵다...ㅜㅜ;;
음....대부분의 관리자는 ksh를 사용한다고 한다. 
위 설명은 ksh 을 사용한 설정이다.

.profile에 쓴 것틀은 좀 연구를 해야겠다..ㅡ.ㅡ;;;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자~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개발환경을 만들어 보자~!
우선 첫번째로 gcc를 설치해보자...

(설치한 vm은 SPARC 버전이 아니다..intal을 확인하자~!!)

내가 설치하려는 gcc의 버전은 3.4.6 이다.
(버전까지 지정해서 환경을 설치하라고 하다니...치밀한 것들..ㅡ.ㅡ;;)

솔라리스10을 일본어로 설치는 했지만, 일단 내가 일본어가 많이 딸리는 관계로 다시 한국어로 설치했다..ㅋㅋㅋ 
일단 여기서 테스트하고 일본어로 넘어가는 편이 좋을 하기때문에...;;;

그럼 이제 설치를 해보자...일단 설치전, 위 홈페이지에 잘 찾아보면....gcc가 정상적으로 실행이 될려면 libiconv도 받아서 설치해야 한다. 일단 이건 gcc 설치후~ 하는 일이다..그래도 일단 참고~

1. gzip을 푼다.
#gzip -d gcc-3.4.6-sol10-x86-local.gz

2. 패키지를 추가한다.
#pkgadd -d gcc-3.4.6-sol10-x86-local

3. gcc를 어디서나 사용가능하도록 PATH를 설정하자.

#vi /.profile
==> PATH=$PARTH:/usr/local/bin

* 참고
 위처럼 작업을 하면 root는 gcc를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사용자는 일일이 .profile에 위 PATH를 설정해줘야 한다.

#ln -s /usr/local/bin/gcc /usr/bin/gcc
라고 하주면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가 gcc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4. libiconv-1.1-sol10-x86-local.gz 를 다운받자. (gcc와 같은 사이트에 있으니 잘 찾아보면 된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압축풀고, 패키지추가를 해주자.

5. 확인 한다.
#gcc
gcc: no input files

위처럼 나오면 정상 설치 완료~!!!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솔직히 컴퓨터관련 학부를 나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리눅스를 접해보았을 것이다.

난 리눅스를 접해볼 기회가 그렇게 많지 않았다. 그리고 일단 리눅스가 싫었다.
명령어를 입력해서 작업을 해야한다는 것이 윈도우에 익숙한 나에겐 정말 귀찮은 일이였기 때문에..;;;
(그 수많은 명령어를 어떻게 외우냐고~!? 무슨 개발자가 만제도 아니고~ 다시 DOS를 쓰는 듯한 기분..;;)

학교를 졸업하고 처음으로 들어간 회사에서 이게 무슨 날벼락인지 모르겠지만, 유닉스를 사용했다. 
그때는 초년병이였기 때문에, 간단한 작업을 했다. (어려운 작업은 과장님이 해주셨다...휴~;;)

근데 나도이제 유닉스를 관리해야 할 시점이 점점 오고있다는 생각이 든다.
잡담은 그만하고.....ㅋㅋㅋ

오늘은 유닉스에 대한 기본적인 공부를 해보자.

유닉스 ??

1. 일반적 특징
1) 다중사용자 환경(Multiuser)
 터미널로부터 컴퓨터와 직접 통신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을 억세스하는 사용자를 다수 허용한다. 이는 시스템 자원 이용도를 증가시키고, 시스템 비용을 줄여준다.

2) 다중작업 환경(Multitasking)
 한싯점에 여러개의 작업을 실행하는 것을 허용한다. 사용자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증대한다.

3) 호환성(Portability)
 여기서 말하는 호환성은 한 종류의 컴퓨터에서 다른 종류의 컴퓨터로 이동하는 능력이 좋다는 뜻... 즉 운영체제의 대부분이 특정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는 형식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가능 한다.

4) 강력한 개발도구들 (Powerful Development Tools)
 수많은 명령어들을 서로 조합하여 새로운 명령어들을 생성할수 있다. 유닉스는 프로그래머에의해 설계 및 프로그래머를 위해 설계된 운영체제이다.


2. 구성요소

유닉스 시스템은 Kernel, Shell, Command라는 3개의 중요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1) Kernel
 시스템 부팅이 될때 메모리내에 위치(Load) 되어지는 프로그램이다. 메모리 관리, 프로세서 시간 할당, 입력 및 출력의 제어를 수행함으로 인해 운영체제의 관리자 또는 핵심이라 불리운다.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제어를 할 수 없다.

2) Shell
 Shell 프로그램은 로그인시에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개시되고, 명령어 실행을 초기화하고 번역함에 의해 커널과 사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Shell은 시스쳄 관리자가 사용자를 시스템에 등록하였을때 사용자에 할당된다. 관리자는 언제든 사용자의 Shell을 변경할 수 있다. Shell은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거나 새로운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3) Command
 명령어는 사용자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명령어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일종의 도구 역활을 수행한다. 유닉스는 새로운 명령어를 생성하기 위해 복합될수 있는 수백개의 명령어를 제공한다. MAPPER와 Oracle같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쉘을 통하여 억세스 될 수 있다.


3. 화일 시스템과 화일 구조

1) 화일 시스템
 유닉스 화일 시스템은 화일의 집합 또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장소들로 구성된다. 유닉스에는 디렉토리, 일반 화일, 특수 화일,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 화일등 4가지 형태의 화일들이 있다. 이러한 화일들은 그들이 쉽게 억세스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배치 구조속에 배치되게 된다.

* 유닉스 화일의 종류
 - 디렉도리(directory)는 다른 화일과 디렉토리에 대한 화일명, 화일의 억세스 권한, 화일의 크기, 생성 날짜, 수정 날짜등의 정보를 유지 관리한다. 디렉토리는 서로 연관되는 화일들을 묶어서 관리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디렉토리는 데이타를 갖지 않으며, 다른 화일 또는 다른 디렉토리로의 포인터만을 저장하게 된다.

 - 일반 화일(ordinary file)은 디스크와 같은 특정의 기억 장치상에 존재하는 문자들의 집합이다. 일반 화일들은 이후의 사용을 위해 저장된 정보, 문서, 프로그램 코드등을 포함할수 있다. 

 - 특수화일(special file)은 디렉토리처럼 데이타를 작고 있지 않다. 기본적으로 이 화일은 디스크 드라이브, 터미널, 프린터와 같은 각정의 하드웨어 장치로의 포인터들이 들어 있다. 각각의 하드웨어 장치들과 연관되는 특수 화일들은 /dev 디렉토리내에 위치된다.

 -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된 화일들은 유닉스 화일 시스템내의 다른 화일들을 가르키는 정보(포인터 또는 절대 경로)를 작고있는 화일이다.

2) 화일의 구조
 유닉스 화일들은 회사의 조직 구성표와 유사한 계층적 구조 또는 단계 구조로 구성된다. 이 방식은 정보를 관리, 검색, 구성하는데 효율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계층적 구조상에서 가장 높은 단계인 root 디렉토리로 부터 서브 디렉토리들과 서브 화일들이 분기된다. 이 점에서 유닉스 화일구조는 꼭대기에 뿌리와 모든 가지들이 그로부터 밑으로 향해가는 거꾸로된 나무처럼 보여질수도 있다. 시스템상의 모든 다른 화일들과 디렉토리들은 '/' 로 표현되는 root 디렉토리에 연결된다.

서브 디렉토리는 다른 화일 또는 화일과 서브 디렉토리들을 갖고있는 서브 디렉토리들을 갖고 있을 수 있다. 디렉토리와 그에 종속되는 서브 화일, 서브 디렉토리들 사이에는 부모-자식 과계의 연관 관계가 존재한다. 각각의 부모 디렉토리는 바로 아래 단계의 화일과 디렉토리들에 대한 정보를 유지 관리한다. 사용자에게는 로그인시에 홈디렉토리라고 부르는 유일한, 초기의 디렉토리를 할당한다. 사용자가 화일 계층구조에서 위치를 변경할때에, 각 디렉토리 위치들은 위치가 다시 바뀔때까지 current directory 가 된다.



쓰고나니 좀 복잡 스럽지만, 이것을 구지 외울 필요는 없지 않을까?? 그냥 이해만 하고 넘어가도록 하자..!!
아직 높은 산들이 많기때문에...;;;;

참~ 이글은 http://unix.co.kr 에 나온 강좌 부분을 내 필요따라 정리 한 것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자~ 이제 사용자도 만들었겠다..슬슬 쉘을 건드려보자..!!
(관리자 쉘은 일단 배제하도록 하자..뭐 관리자계정부터 바꾸면 좋겠지만, 그러다 탈날라~~ㅋㅋ)
일단 난 기본적으로 C쉘을 이용할 것이다. (왜냐면 예전부터 이것을 이용했고, 편하니깐..)

새로만든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보자~!! 
그리고 ls를 이용하여 어떤 파일이 있는지 확인 해보자~!!
(설마 ls가 뭐야?? 라고 하는 사람은 없겠지?? ㅡ.ㅡ;;)
일단 ls -a 명령어를 이용해 디렉토리에 나온 파일들을 보면..위처럼 나온다.
( 처음엔 .cshrc 파일이 없다. 이 글을 쓰기전 먼저 테스트를 했기 때문에, 만들어져 있는것이다.)

자~ 보면 알겠지만 파일명 앞에 '.' 으로 시작하는 것은 숨겨져 있는 것을 알수 있다.
지금부터 난 이 파일들을 조작 할 것이다. 
- 참고 : 로그인시 끝이 rc로 끝나는 파일을 로딩한다고 한다.(당연히 앞엔 '.'으로 시작하겠지..)

참 친절하게도 local.cshrc 라는 파일이 있다. (대충 여기에 기본적으로 뭔가가 적혀있다.)
이것을 .cshrc 파일로 복사를 한다.

cp local.cshrc .cshrc

이러면 .cshrc라는 파일이 복사가 된다.!!!!! (복사명령어도 모르면 곤란하지~!!)
복사된 .cshrc 파일을 vi를 열어서 수정한다. (난 이미 작성 되어있으니..아래 그림을 참조한다.)

기본적으로 alias 부분만 작성을 했다. 
각각의 설명은 구지 하지 않도록 하겠다. 인터넷에 무궁무진하게 많은 자료가 있으니...ㅋㅋ 

이렇게 저장을 하고 나오면 ......... 적용해야겠지??ㅋㅋㅋ
쉘을 적용하는 명령어는 
source .cshrc
이다. 아래는 실행 결과이다.
보면 알겠지만...변한것이 분명 있다...(없다고 하지마라..눈에 보이니깐~!!)

명령어 치는 부분..즉 prompt가 .cshrc에 설정한 prompt 로 변경이 되어있는 것을 볼수있다.
이렇게 하면 login시 .cshrc를 실행하여 설정 항상 맞춰 준다...!! 

물론 .cshrc에 많은 것을 설정 할수 있다. PATH, setenv ....등등등...
하지만 난 아직 초보니깐..^^;; 여기까지만 ~!!!

P.S : 마지막 alias 로 지정한 ahn, pd는 삭제해야 한다...!!!! (나도 인터넷보고 하다가 필요없는데 들어간듯...지송~^^)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오늘 계정을 만들다가 뻘짓을 했다. ㅡ.ㅡ;;
처음에도 말했듯이 난 Solaris를 사용만 해봤지, 관리는 해보지 않았다. (리눅스면 몰라도;;;)

우선 처음에 알아두어야 할것은...
1. 유저가 생성되면 기본 디렉토리는 /home 이 아닌 /export/home 이라는 것이다.
2. useradd [유저명] 으로 생성하면 안된다. (안되는건 아니지만...살짝 귀찮아진다고 해야하나.;;)
3. 계정생성 전에 그룹을 먼저 만든다. (설명은 글 중간에 있다..)

일단 유저 생성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useradd -u [유저ID실별번호] -g [그룹ID식별번호] -d [홈디렉토리] -s [쉘] -m [유저명]

여기서 -m 옵션은 뭔지 잘은 모르겠다..ㅡ.ㅡ;;
혹시 아는 분은 댓글로 남겨주기 바란다.

[유저ID실별번호] -> 1~99를 제외한 숫자를 입력한다. 단, 생성할 계정의 식별번호는 독립적이여야 한다.
- /etc/passwd 에서 없는 번호를 찾아서 부여해주면 된다.

- 1~99는 유닉스에서 사용하는 특정 식별번호라고 한다. 그러니 사용하지 안도록 한다.
- 위 그림에서 보는것과 같이 난 100번을 지정하였다...(아무래도 차례대로 지정하는것이 관리하기에 편할거라 생각했음...)

[그룹ID식별번호] -> 유저 식별자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한다.
- 참고 <그룹만들기>
groupadd -g [그룹식별자번호] [그룹명]
 - 그룹식별자번호는 /etc/group 에서 확인 가능함

[홈디렉토리] -> 홈디렉토리는 /export/home/[유저명]으로 지정한다. (다른걸로 지정해보지는 않았음...)
- 참고 : Solaris에서 /home은 root권한으로도 폴더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autoFS 라는 것때문에 그렇다고 한다. /etc/auto_master에 보면 /home이 뭔지 모를 작업이 되어있다. 난 그냥 넘어갔다. 이것 역시 아는 사람은 댓글로 남겨주기 바란다.)

[쉘] -> 기본적으로 사용할 쉘을 지정한다.
- 보통: /bin/csh 또는 /bin/ksh , /bin/sh 를 사용한다. (이부분은 각자 알아서 ...ㅋㅋ)

[유저명] -> 계정으로 사용할 ID를 기입한다.


Solaris에 대한 기본지식도 없이 작업할려니 여간 힘든것이 아니다. (책을 사라고 하는 사람이 있을것 같아서 하는 말이지만...여기 한국어로된 책이 없다...있어도 한국가격에 2배정도 한다...배송을 하고싶어도 배보다 배꼽이 더 크기때문에 무리다...;;;)
책도 없고, 오로지 인터넷에의한 정보로 작업해야 한다는 생각에 짜증이 나지만..그래도 오늘 하나는 제대로 배운듯...

힘들구나...;;;

아~ 패스워드도 설정해야한다...!!!
이건 간단하게 설명하면...
passwd [유저명]
하면 패스워드입력 하라고 나오는데...거기에 원하는 패스워드 입력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