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프로그램에는 자료형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숫자, 문자열 등 자료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이것은 프로그램의 기본이자 핵심입니다. 자료형을 알지 못하면 프로그램을 짤 수 없으며, 각 언어마다 비슷하지만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연산을 합니다. 이러한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튜플자료형

튜플은 리스트와 유사합니다. 리스트와 다른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튜플은 ()로 둘러싸여있다.
  • 튜플은 값을 바꿀 수 없다.
  • 튜플은 1개의 요소만을 가질때 반드시 요소뒤에 콤마(,)를 부여야 한다. <예> a=(1,) 
  • 괄호를 생략해도 무방하다. <예> a=1,2,3

튜플은 리스트와 유사하지만 구별해서 사용해야합니다. 값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여부가 큰 차이입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값이 변하지 않기를 바란다거나 바뀔까 걱정하고 싶지 않다면 튜플을 사용하면 됩니다. 근데 실제로 변하지 않는 값을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튜플을 이용한 여러가지 예제

튜플은 값을 변화시킬 수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리스트와 동일합니다.

 

[코드]

a = ('a','b',1,2,3)
print("a:",a)
print("a의 3번째 요소는:",a[3])
print("a의 1~2번째 요소는:",a[1:3])

b = ('A','B')
print("b:",b)
print("a+b=",a+b)

print("a*5=", a*5)

print("a의 길이:",len(a))

[출력]

a: ('a', 'b', 1, 2, 3)
a의 3번째 요소는: 2
a의 1~2번째 요소는: ('b', 1)
b: ('A', 'B')
a+b= ('a', 'b', 1, 2, 3, 'A', 'B')
a*5= ('a', 'b', 1, 2, 3, 'a', 'b', 1, 2, 3, 'a', 'b', 1, 2, 3, 'a', 'b', 1, 2, 3, 'a', 'b', 1, 2, 3)
a의 길이: 5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프로그램에는 자료형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숫자, 문자열 등 자료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이것은 프로그램의 기본이자 핵심입니다. 자료형을 알지 못하면 프로그램을 짤 수 없으며, 각 언어마다 비슷하지만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연산을 합니다. 이러한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스트 자료형

리스트 만들기

리스트는 앞에서 배운 숫자형, 문자형 등의 자료형을 모아서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만드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리스트명 = [요소1, 요소2, 요소3,...]

리스트는 비어있는 리스트([])가 있을수 있고, 숫자를 요소값으로 혹은 문자열을 요소값으로 가질수 있습니다. 그리고 숫자와 문자열을 함께 가질 수도 있으며 요소값에 리스트가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리스트도 문자열과 같이 인덱싱과 슬라이싱이 가능합니다. 첫번째 요소의 시작은 0부터 시작한다는 것을 알고있으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코드]

a = [1, 2, 3, 4, 5]
print(a)
print("0번째:",a[0])
print("-1번째:",a[-1])

a = [1, 2, 3, 4, 5, ['a','b','c']]
print(a)
print("0번째:",a[0])
print("-1번째:",a[-1])
print("5번째 요소의 1번째:",a[5][1])

[출력]

또한, 슬라이싱도 문자열과 비슷하게 적용이 가능합니다.

[코드]

a = [1, 2, 3, 4, 5]
print(a)
print("0~1번째:",a[0:2])
print("2번까지:",a[:2])
print("2번째부터:",a[2:])

[출력]

리스트의 연산 그리고 수정과 삭제

리스트도 문자열과 같이 +, * 기호를 사용하여 더하거나 반복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리스트의 값은 수정과 삭제가 가능합니다.

[코드]

# 리스트 연산
a = [1, 2, 3, 4, 5]
b = [6, 7, 8]
print(a+b)
print(a*3)

print("a+b 리스트의 길이:",len(a+b))

# 리스트 수정
a[2] = 10
print("수정후:",a)
# 리스트 삭제
del a[1]
print("a[1]삭제후:",a)
del b[1:]
print("b[1:]삭제후:",b)

[출력]

 

리스트 함수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리스트 자료형에도 리스트 관련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용한 몇가지의 함수를 사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코드]

a = [1, 2, 3]
print("a:",a)
print("2의 개수:",a.count(2))
print("추가전:",a)
a.append(10)
print("추가후:",a)
a.insert(1,55)
print("1위치에 55 삽입후:",a)
a.insert(3,-1)
print("3위치에 -1 삽입후:",a)
print()
print("a의 1위치는:",a.index(1)) # index() 함수에서 찾는 값이 없으면 오류발생
print()
b = [10, 8, 3, 6, 1]
print("b:",b)
b.sort()
print("정렬후:",b)
b.reverse()
print("역정렬후:",b)
print()
b.append(3)
print("b:",b)
b.remove(3)
print("3 삭제후:",b) # 첫번째로 나오는 3만 삭제됨

print()
print("a:",a)
print("a배열에서 마지막 요소를 꺼냄:",a.pop())
print("pop이후 a:",a)
print("a배열에서 1 요소를 꺼냄:",a.pop(1))
print("pop이후 a:",a)

print()
a.extend(b)
print("확장:",a)

[출력]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지난 문자열 자료형(1)에 이어서 문자열 자료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트

https://tylee82.tistory.com/357
 

[파이썬][기초] 1.자료형 - 문자열 자료형(1)

프로그램에는 자료형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숫자, 문자열 등 자료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이것은 프로그램의 기본이자 핵심입니다. 자료형을 알지 못하면 프로그

tylee82.tistory.com

 

format 함수를 이용한 포매팅

문자열의 format 함수를 사용하여 앞에서 이용한 포멧코드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

[코드]

print("{0}년 이다.".format(2021))
print("오늘은 {0}/{1}/{2} 이다.".format(2021, 11, 8))
print("나는 {0} 이고, {1} 이다.".format("개발자", 40))

m = 11
d = "8일"
print("오늘은 {0}월 {1} 이다.".format(m,d))

print("크리스마스는 {a}월 {b} 이다.".format(a=12,b="25일"))
print("신정은 {0}월 {day} 이다.".format(1, day="1일"))

#정렬
print("[{0:<15}]".format("hello"))
print("[{0:>15}]".format("hello"))
print("[{0:^15}]".format("hello"))

#공백채우기
print("[{0:=^15}]".format("hello"))
print("[{0:!<15}]".format("hello"))
print("[{0:#>15}]".format("hello"))

#소수점
print("[{0:0.4f}]".format(3.42151548))
print("[{0:20.4f}]".format(3.42151548))

[출력]

 

f 문자열 포매팅

f 문자열 포매팅 기능은 파이썬 3.6 버전부터 사용이가능하다.

[코드]

number = 1
print(f"number + 2 = {number+2}")

#정렬
print(f'[{"hi":<10}]')
print(f'[{"hi":>10}]')
print(f'[{"hi":^10}]')

#채우기
print(f'[{"hi":#^10}]')

#소수점
x = 1.235488456
print(f"{x:0.4f}")

[출력]

 

문자열 관련 함수

문자열 자료형은 자체적인 함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을 내장함수라 하는데, 문자열을 다루는데 꼭 알고 있어야 하는 부분입니다.

[코드]


a = "ABCDEFBBCDSETGR"
print("B의 개수 : ",a.count('B'))

b = "Python good!!"
print("find o의 위치 : ",b.find('o'))
print("find z의 위치 : ",b.find('z'))

print("index o의 위치 : ",b.index('o'))
#print("index z의 위치 : ",b.index('z'))  <-- index는 찾는 문자가 없으면 에러가 난다

print(",".join(["ABC","DEF","GHI"]))
print("abc".upper())
print("ABC".lower())
print("   [공백 지우기]   ".lstrip())
print("   [공백 지우기]   ".rstrip())
print("   [공백 지우기]   ".strip())

print("ABC DEF GHI".replace("AB","yx"))

print("ABC DEF GHI".split())
print("ABC:DEF:GHI".split(':'))

[출력]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프로그램에는 자료형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숫자, 문자열 등 자료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이것은 프로그램의 기본이자 핵심입니다. 자료형을 알지 못하면 프로그램을 짤 수 없으며, 각 언어마다 비슷하지만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연산을 합니다. 이러한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문자열 자료형

문자열(String)이란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집합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파이썬은 쉽다", "123", "a" 와 같이 큰따옴료로 둘러싸여 있는 것입니다.

 

문자열 만들기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코드]

# 큰따옴표로 사용하기
a = "파이썬은 쉽다."
print("a:",a)

# 작은따옴표로 사용하기
b = '파이썬은 쉽다'
print("b:",b)
bb = '파이썬은 "쉽다"라고 생각합니다.'
print("bb:",bb)

# 큰따움표 3개를 연속으로 사용하기
c = """파이썬은 쉽다"""
print("c:",c)
cc = """파이썬은
엄청
쉽다.
"""
print("cc:", cc)

# 작은따움표 3개를 연속으로 사용하기
d = '''파이썬은 쉽다'''
print("d:", d)
dd = '''파이썬은 
쉽지만
강력하다.
'''
print("dd:",dd)

[출력]

문자열의 연산

파이썬에서는 문자열을 더하거나 곱할 수 있습니다. 이부분은 다른 언어와 조금 다릅니다. 문자열을 더하거나 곱하는 방식으로 두 문자열을 붙이거나 늘릴수 있습니다.

[코드]

# 문자열 더하기
a = "파이썬"
b = "재미있다."
print( a + " " + b)

# 문자열 곱하기
c = "파이썬"
print(c*2)

# 곱하기 응용
print("="*50)
print("파이썬은 재밌다.")
print("="*50)

[출력]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인덱싱이란 무엇인가를 "가르킨다" 이고, 슬라이싱은 무엇인가를 "잘라낸다"는 의미입니다. 대부분의 언어들이 그렇겠지만 문자열의 첫번째 글자를 사용하기 위해 인덱싱을 할때는 0부터 숫자를 세고 있습니다.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이용하여 문자열을 아래와 같이 자르고 붙일 수 있습니다.

[코드]

#ABCDEFGHIJKLMNOPQRSTUVWXYZ
#0         1         2
#01234567890123456789012345
a = "ABCDEFGHIJKLMNOPQRSTUVWXYZ"

# 인덱싱싱
print(a[0])
print(a[0]+a[5]+a[10]+a[15])
print(a[0:10])  # 0 <= a < 10
print(a[:10])
print(a[5:15])
print(a[10:])

print(a[-1])
print(a[-5])
print(a[10:-1])

[출력]

문자열 포메팅

문자열의 포메팅은 문자열 안에 어떤 값을 삽입하는 방법입니다. 아래의 내용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입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맷 코드를 알아야 하는데 포맷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 %s : 문자열(String)
  • %c : 문자 1개(char)
  • %d : 정수(int)
  • %f : 부동소수(float)
  • %o : 8진수
  • %x : 16진수
  • %% : 문자 % 자체

[코드]

# 숫자 대입
print("나는 %d살 입니다." % 40)
age = 40
print("나는 %d살 입니다." % age)

# 문자열 대입
print("많이 %s를 먹었네요." % "나이")

# 2개를 대입하여 사용
print("%s는 많지만 그래도 하고싶은 것이 많은 %d대 입니다." % ("나이",40))

# %문자 출력과 부동소수 입력비교
print("나의 체지방율은 %d%% 입니다." % 33.4)
print("나의 체지방율은 %f%% 입니다." % 33.4)
print("나의 체지방율은 %s%% 입니다." % 33.4)

[출력]

포맷 코드와 숫자 함께 사용하기

포맷코드를 숫자와 함께사용 하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코드]

print("[%10s]" % "파이썬")
print("[%-10s]" % "파이썬")

print("[%0.4f]" % 3.82364933234)
print("[%10.4f]" % 3.82364933234)
print("[%-10.4f]" % 3.82364933234)

[출력]

 

문자열 자료형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 이어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프로그램에는 자료형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숫자, 문자열 등 자료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이것은 프로그램의 기본이자 핵심입니다. 자료형을 알지 못하면 프로그램을 짤 수 없으며, 각 언어마다 비슷하지만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연산을 합니다. 이러한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숫자형

첫번째로 보아야 할 자료형은 바로 숫자형입니다.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을 말합니다. 숫자형에는 정수형, 실수형, 8진수와 16진수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연산하는 방법이 있는데 그것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수형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을 말합니다. 양의 정수, 음의 정수, 0 등이 있을 것입니다. (정수 : 수학에서 정수는 양의 정수, 음의 정수 및 0으로 이루어진 수의 체계이다. 또는 자연수, 자연수의 음수 및 영을 통칭하는 말이다. )

파이썬에서는 아래와 같이 숫자를 변수에 대입할 수 있습니다.

아래 코드에서 print는 화면에 출력을 위한 함수입니다. 

[코드]

a = 123
print(a)

b = -345
print(b)

c = 0
print(c)

[출력]

실수형

파이썬에서 실수형은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를 이야기합니다. 정수형과 같이 아래와 같이 프로그램하여 화면에 출력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입력은 우리가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방식과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지수방식으로 넣어보겠습니다.

[코드]

a = 11.1234
print(a)

b = -3.45
print(b)

c = 3.2E3
print(c)

d = 3.2e-3
print(d)

[출력]

8진수와 16진수

8진수(Octal)를 만들기 위해서 파이썬에서는 8진수의 영어의 알파벳O를 이용하여 0o 또는 0O 로 시작하면 된다. 16진수(Hexadecimal)는 8진수와 비슷하게 0x로 시작하면 된다.

[코드]

a = 0o23
print(a)

b = 0O23
print(b)

c = 0x4e
print(c)

[출력]

 

숫자형을 활용한 연산

위에서 알아본 숫자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연산을 하여 계산을 할 수 있다.

[코드]

a = 1
b = 2
print("=사칙연산===============")
c = a + b   #덧셈
print(c)
print(c-a)  #뺄셈

d = a * b  #곱셈
print(d)


print("=제곱을 나타내는 연산자 ** 연산자===============")
e = b ** c #제곱을 나타내는 연산자 ** 연산자
print(e)

#나눗셈 후 나머지를 반환하는 % 연산자
print("=나눗셈 후 나머지를 반환하는 % 연산자===============")
print(7 % 3)
print(3 % 7)

#나눗셈 후 몫을 반환하는 // 연산자
print("=나눗셈 후 몫을 반환하는 // 연산자===============")
print(7 // 3)

# TEST
print("=============TEST=============")
print(7 / 4)
print(7 // 4)
print(7 % 4)

[출력]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