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olaris는 기본 ftp/telnet package가 설치되어있다.

초기 설치시 root user는 보안상 ftp/telnet이 막혀있다.

일반 user는 상관 없단다...ㅡ.ㅡ;;;

root을 이용해서 ftp/telnet을 사용하여야 한다면,

#vi /etc/ftpd/ftpusers -> 파일을 open하셔서 'root'부분을 주석처리

#vi /etc/default/login -> 파일을 open하셔서 "CONSOLE'부분을 주석처리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지난번 솔라리스10에 postgreSQL을 패키지로 설치를 해보았다..
몇가지 문제가 발생하여 8.3.5 버젼으로 업그레이드도 겸사겸사 해보았다..

일단 지난번에 설치시 모르고 설치했던 몇가지 문제가 있었는데..
솔라리스10은 기본적으로 postgreSQL과 MySQL이 패키지로 설치가 되어있다.

이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는것이 아무리 postgreSQL을 8.3.x 버전으로 설치해도 기존 설치된 패키지를 읽어서 8.1.11이 구동된다는 것이다. 

정말로 "pkginfo | grep postgr"을 실행하면 postgreSQL 패키지들이 검색이 된다.
이렇게 검색된 패키지는 "pkgrm [패키지명]" 을 이용하여 먼저 삭제를 하는 것이 좋다.
(8.1.11에 관한 패키지만 삭제하여도 무방한듯...8.2 버전대도 설치가 되어있었는데..이건 뭔지 잘 모르겠다..)

이제 설치를 시작하기위해서 아래 사이트에서 최신 버전을 다운 받자.


다운받은 파일을 압축을 풀자.

#gunzip postgresql-8.3.5.tar.gz

#tar xvf postgresql-8.3.5.tar

그리고 생성된 postgresql-8.3.5 로 이동하여 configure, make, makeinstall을 해준다.

#cd postgresql-8.3.5
#configure --prefix=/usr/local/pgsql
#make
-> All of PostgreSQL successfully made. Ready to install. 메세지가 나오면 성공
#make install
-> PostgreSQL installation complete. 메세지가 나오면 성공

postgreSQL을 관리할 그룹및 유저를 추가해준다. 
단, 그룹추가전에 그룹이 등록되어있는지 먼저 확인후, 없다면 추가해준다.

#groupadd postgres

유저또한, 추가전에 유저가 등록되어있는지 먼저 확인후, 없다면 추가해준다.

#useradd -g postgres -d /usr/local/pgsql -s /bin/bash postgres

다음으로는 인스톨이 성공한 /usr/local/pgsql 폴더의 소유자를 postgres에게 부여한다.

#chown -R postgres:postgres /usr/local/pgsql

postgreSQL에서 data가 만들어질 공간을 만들어주고 이것 역시 postgres에게 소유권을 부여한다.

#cd /usr/local/pgsql
#mkdir data
#chown postgres:postgres data

postgres 계정으로 로그인을 한뒤, PATH 및 lib 경로를 지정해준다.
(난 postgres의 쉘을 bash로 하였다..)

#vi .bash_profile
PATH=/usr/bin:/usr/ucb:/etc:/usr/local/bin:/usr/sbin:/usr/ccs/bin:/usr/local/pgsql/bin:.
LD_LIBRARY_PATH=/usr/local/lib:/usr/lib
JAVA_HOME=/usr/java
CLASSPATH=$JAVA_HOME/lib/tools.jar:$JAVA_HOME/jre/lib/rt.jar
MANPATH=/usr/share/man:/usr/dt/man:/usr/local/man/usr/openwin/share/man:/usr/manexport PATH EDITOR MANPATH LD_LIBRARY_PATH JAVA_HOME CLASSPATH
export POSTGRES_HOME=/usr/local/pgsql
export PGLIB=$POSTGRES_HOME/lib
export PGDATA=$POSTGRES_HOME/data
export MANPATH="$MANPATH":$POSTGRES_HOME/man
export LD_LIBRARY_PATH="$LD_LIBRARY_PATH":$PGLIB

위 내용을 기입하고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한 profile을 적용하여 준다.

#source ~/.bash_profile

이제 DB를 초기화 해보도록 하자~

#cd bin
#initdb -D /usr/local/pgsql/data

Success. You can now start the database server using:
    postgres -D /usr/local/pgsql/data
or
    pg_ctl -D /usr/local/pgsql/data -l logfile start

-> 마지막에 위와같은 메세지가 나오면 성공이다.

DB를 실행하도록 하자~

#postmaster -D /usr/local/pgsql/data/ &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postgreSQL로 접속해보도록 한다.

#psql template1



이로써 모든 설치가 완료되었다.

------------------------------ 참고 팁 --------------------------------
* 버전확인
#postmaster --version

* 외부접속 설정
#vi pg_hba.conf
# IPv4 local connections:
host    all         all         127.0.0.1/32          trust
host    all         all         192.168.130.0/24          trust   <--192.168.130.xxx 의 아이피는 접속 허용
host    all         all         192.168.128.0/24          trust   <--192.168.128.xxx 의 아이피는 접속 허용

* 특정 ip만을 접속 할경우
host    all         all         192.168.128.133/32          trust   <--192.168.128.133 의 아이피만 접속 허용

#vi postgresql.conf
#listen_addresses = 'localhost' --> listen_addresses = '*'
#port = 5432 --> port = 5432

윗부분을 찾아서 주석제거후 위 구문으로 고친다.

* database 만들기
#createdb [DB명]

* user 만들기
#createuser [유저명]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음... 이 글을 쓰기전에 정말 뻘짓했다..ㅡ.ㅡ;;;

여기 저기서 글을 찾아서 설치를 해봤는데..계속 실패를 거듭하던중...

새로운 사실을 알았다...

바로..솔라리스10은 기본적으로 MySQL이 깔려있다는 것이다..

정말 유용한 사이트...[http://radiocom.kunsan.ac.kr/lecture/start.html]

다른 버젼을 설치 한다고 하면 위 사이트에서 참고를 하기 바란다...

환경 설정말 바꿔주면 되는...ㅡ.ㅡ;;

이거 뭐냐...제길....친절하게 설명서도 존재했다...


[root@Solaris10:/usr/local]# cat /etc/sfw/mysql/README.solaris.mysql
To use mysql a number of post-install procedures need to be made by root.
The following steps are derived from the mysql manual (manual.ps, manual.txt or
manual_toc.html) found in the /usr/sfw/src/mysql/Docs directory.
Initialise the database tables.

# /usr/sfw/bin/mysql_install_db

Create mysql user and group and change data directory group.

# groupadd mysql
# useradd -g mysql mysql
# chgrp -R mysql /var/mysql
# chmod -R 770
# installf SUNWmysqlr /var/mysql d 770 root mysql


MySQL reads configuration files from different places in the following order.

Filename                Purpose
---------               ---------
/etc/my.cnf             Global options

DATADIR/my.cnf          Server-specific options

defaults-extra-file     The file specified with
                        --defaults-extra-file=path

~/.my.cnf               User-specific options

Optionally copy a mysql daemon configuration file to configuration directory.
Note there are other configuration profiles available.
For default solaris installation DATADIR is /var/mysql.

# cp /usr/sfw/share/mysql/my-medium.cnf /var/mysql/my.cnf

Start mysql daemon by hand
# /usr/sfw/sbin/mysqld_safe --user=mysql &

Optionally perform the following steps for automatic start and stop of
mysql daemon at boot and shutdown.

Link boot time start up script from rc3.d and rc[012S].d
# ln /etc/sfw/mysql/mysql.server /etc/rc3.d/S99mysql
# ln /etc/sfw/mysql/mysql.server /etc/rc0.d/K00mysql
# ln /etc/sfw/mysql/mysql.server /etc/rc1.d/K00mysql
# ln /etc/sfw/mysql/mysql.server /etc/rc2.d/K00mysql
# ln /etc/sfw/mysql/mysql.server /etc/rcS.d/K00mysql



위 작업을 하고 reboot 하고 mysql 치면...된다...제길...

완전 뻘진중에 뻘짓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어제 설치를 어느정도 하고나서, 새로운 난관이 앞에 기다리고 있었다...ㅡ.ㅡ;;

ip가 변경이 된것이다. 다행히 여기에서 같이 일하는 사토야마상이 해결해 줬지만..왠지 그냥 넘어가기에는 찜찜해서 자료를 좀 조사를 했다..


솔라리스는 모든 시스템 의 설정 값들을 /etc 안에 저장하게 된다고 한다.

이중 네트워크 관련 파일은 다음과 같다..

1. /etc/hosts
2. /etc/hostname.fjgi0 혹은 /etc/hostname.hme0
3. /etc/defaultrouter
4. /etc/resolv.conf
5. /etc/nsswitch.conf
6. /etc/inet/netmasks

이들 파일의 설정들을 바꾸어 준 후 재쿠팅을 하면 ip 설정이 변경이된다.

영구히 ip 바꾸기 


1. vi /etc/hosts
127.0.0.1 localhost
xxx.xxx.xxx.xxx 서버이름
 
위와 같이 되어있으며 이곳에 라우터등의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즉
 
127.0.0.1 localhost
xxx.xxx.xxx.xxx 서버이름
xxx.xxx.xxx.xxx 라우터이름(정해주면 된다. ip는 사용하고 있는 라우터 ip를 주면 된다.)
xxx.xxx.xxx.xxx 도메인이름(위와 같다)
  
2. vi /etc/defaultrouter
xxx.xxx.xxx.xxx 이렇게 직접 ip를 줘도 되고
라우터이름 <- hosts파일에서 설정한 라우터 이름으로 줘도 된다
 
3. vi /etc/resolv.conf
nameserver xxx.xxx.xxx.xxx 이렇게 직접 ip를 줘도 되고
nameserver 도메인 이름 <- hosts파일에서 설정한 도메인 이름으로 줘도 된다.
 
4. /etc/nsswitch.conf 
# /etc/nsswitch.files: 
# An example file that could be copied over to /etc/nsswitch.conf; it 
# does not use any naming service. 
# \"hosts:\" and \"services:\" in this file are used only if the 
# /etc/netconfig file has a \"-\" for nametoaddr_libs of \"inet\" transports.
passwd: files 
group: files 
hosts: files dns ~~~~~dns라는 말을 추가하여준다. 
ipnodes: files
networks: files 
protocols: files 
rpc: files 
ethers: files 
netmasks: files 
bootparams: files 
publickey: files 
# At present there isn\'t a \'files\' backend for netgroup; the system will 
# figure it out pretty quickly, and won\'t use netgroups at all. 
netgroup: files

5. /etc/inet/netmasks file을 열고 맨밑부분에 netmask값을 넣어준다. 
# The netmasks file associates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 masks with IP network numbers. 
# network-number netmask 
# The term network-number refers to a number obtained from the Internet Network 
# Information Center. Currently this number is restricted to being a class 
# A, B, or C network number. In the future we should be able to support 
# arbitrary network numbers per the Classless Internet Domain Routing 
# guidelines. 
# Both the network-number and the netmasks are specified in 
# \"decimal dot\" notation, e.g: 
# 128.32.0.0 255.255.255.0 
xxx.xxx.xxx.0 255.255.255.0 
~~~~~~왼쪽은 IP에서 끝자리는 0으로 하고, 오른쪽은 Subnet값을 넣어준다.
  
6 /etc/hostname.hme0 혹은 /etc/hostname.fjgi0 파일에 서버이름을 적어준다.

7 마지막으로 시스템을 리부팅한다.






임시 ip 바꾸기 




임시로 ip를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임시로 ip를 설정하면 재부팅 시 그 효과를 잃게 된다.
임시로 변경 ip를 변경해 보자
일단 ifconfig -a의 명령어로 현재 셋팅되어있는 ip를 알아보자

lo0: flags=1000849<UP,LOOPBACK,RUNNING,MULTICAST,IPv4> mtu 8232 index 1
        inet 127.0.0.1 netmask ff000000 
fjgi0: flags=1000843<UP,BROADCAST,RUNNING,MULTICAST,IPv4> mtu 1500 index 2
        inet xxx.xxx.xxx.xxx netmask xxxxxxxx broadcast xxx.xxx.xxx.xxx
        ether 0:b:5d:f3:a2:c6
 
이제 변경해 보자 
ifconfig fjgi0 inet xxx.xxx.xxx.xxx netmask xxx.xxx.xxx.xxx broadcast + up
 
이제 임시로 ip와 netmask가 변경 되었다.
ifconfig -a로 변경 되었는지 확인해 보자
  
서버의 Network cable을 연결할 Port가 남아 있는가?
서버를 봤을 때 4개의 port가 있는데 그 중 3개만 사용할 경우
나머지 하나도 마저 사용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한다.
 
# cd /etc
# ls -l hostname*
의 결과가
hostname.hme0
hostname.hme1
hostname.hme2
라면
 
# ifconfig hme3 plumb
# ifconfig hme3 xxx.xxx.xxx.xxx netmask yyy.yyy.yyy.yyy broadcast + up
xxx.xxx.xxx.xxx: 해당 IP를 넣는다
yyy.yyy.yyy.yyy: 해당 Netmask를 넣는다.
설정이 끝나면 확인해 보자
# ifconfig -a
 
현재사용하고 있는 port를 사용하고 싶지 않다면
# ifconfig hme3 down unplumb
 
확인해 보자
# ifconfig -a
  
팁: netstat -rn 명령어로 현재 셋팅되어있는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살짝 애를 먹긴했는데...어찌됐던...성공했다...ㅋㅋㅋ

참고로 다음 사이트에 나오는 방법을 보고 따라했다..


1. JK를 다운 받는다. 




2. gunzip 과 tar 의 압축을 풀어준다.



3. 압축이 풀린 폴더의 native 폴더로 이동한다.



4. 아래 작업을 실행한다.
# configure --with-apxs=/usr/local/apache2/bin/apxs

* 주위 : apache가 구동되고 있으면 안된다.


5. 위 작업이 끝났으면 make, make install 을 실한다. 그리고 아파치의 conf 폴더로 이동하여 workers.properties 를 만들어준다.



6. 아래 내용을 작성한다.



7. httpd.conf 를 열어서 마지막에 아래의 문구를 추가한다.




- 여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내가 참고한 사이트를 보기 바란다.

8. 자~ 이제 확인해보자~!!! 




조낸 힘들다...ㅡ.ㅡ;;;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굉장히 간한하다.

우선 사이트에서 다운을 받자..



압축을 풀고 폴더를 이동하면 설치 끝...


환경설정은 필수~ (이제 인건 알아서 하자~!!!!)

그리고 구동시킨후 웹으로 확인하자...(근데..왜 IP로 접속하면 화면이 뜨지 않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일단 파일을 다운 받자...

사이트 : http://java.sun.com

(사이트에서 다운받는 부분은 모두 알거라 생각한다. 설치할 플렛폼을 잘 선택하여 다운받자...)
다운시 .sh 파일로 다운받자...<-- 이것이 자동설치 파일...

다운 받은 파일을 실행하면 실행이 안될것이다..
바로 권한때문이다...파일에 쓰기권한을 줘야 실행이 된다.

# chmod +x [java 파일명].sh

그리고 파일명 실행...

# [java 파일명].sh

그럼 일단 설치는 완료다...!!

이제 설정을 해줘야 한다...

솔라리스는 본래 자바가 기본적으로 깔려져 있다..
하지만 난 최신버젼으로 깔거라..ㅋㅋㅋ

일단 기존에 걸려있는 링크를 지워야한다..

# rm  /usr/java

그리고 새로 설치한 jdk에 링크를 만들어 준다.

# ln -s /usr/local/[java 설치폴더] /usr/java


마지막으로 /.profile에 패스추가하면 끝.~!!!


버젼확인은 해야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자~ 드디어 아파치를 설치 해보자..
일단 프로그램을 다운받자..(종속프로그램도 모두 다운을 받자..혹시 모르는 경우를 대비해서..)


여기 중요한것은....Tomcat과 연동을 하기위해서는 패키지 설치로 하면 잘 안된다는 것이다..
(왜 안되는지 잘은 모르겠지만...ㅡ.ㅡ;;)
그리고 패키지로 설치하면 $APACHE/conf/httpd.conf 파일이 없다..
이게 왜 없는지는 잘 모르겠다...어디서 만들어줘야 하나???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 
제길...

그래서 결국 소스버전으로 설치를 하기로 했다...위 화면에서 패키지 버젼말고 밑으로 조금만 눈을 내리면 소스버젼이 있으니 그것을 받도록 하자~

그리고 설치하자...

1. 받은 파일을 gunzip으로 압축을 풀고 tar도 풀자~


2. 압축이 풀린 폴더로 이동하여 
# configure --enable-so --enable-mods-shared=most
명령어를 실행하자.


3. make를 실행하자. 
(make는 솔라리스 설치시 설치 되었는데..난 그거 모르고 새로 설치를 해버렸다..ㅡ.ㅡ;)

* 주의
1. /.profile에 PATH가 추가되어 있어야 한다. (/usr/ccs/bin)
2. /.profile에 LD_LIBRARY_PATH가 추가 되어있어야 한다.
(export LD_LIBRARY_PATH=/usr/local/lib:/usr/lib)



4. 에러없이 make가 실행 됬다면 make install을 실행한다.


5. 설치가 끝났다면 /.profile PATH에 아래 경로를 추가해준다.


6. 설치된 /usr/local/apache2/conf/httpd.conf 파일에 아래 부분을 수정해준다. 

* 주의
1. 솔라리스에서는 Group #-1 을 그냥 두고 실행하면 안된다..왠지는 모른다..근데 정말 안된다..
2. ServerName을 도메인명 or IP로 설정한다.


7. 아파치를 실행한다. 잘되는지 프로세스도 검사~


8. 자~ 이제 웹으로 확인해보자~!!!!



오늘 아파치 설치할려고 생각한 뻘짓은...정말..한도 끝도 없다...ㅡ.ㅡ;;
제길...뭐 그래도 얻은게 크다~

휴~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오늘은 어제에 이어서 나머지 설치를 해야하는데...;;;
약간 난이도가 있을것 같다...좀 복잡한게 남은듯..ㅡ.ㅡ;;

일단은 postgrSQL을 다운을 받자~!!




우선...postgreSQL... 이건 뭘까..?? database인건 알겠는데...처음 들어보는 거다...
일단 꽁짜니깐..MySQL 정도라고 생각하고 넘어가자~!!!!


자~ 일단 패키지로 받았기 때문에 어제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를 해보자~!!


(pkgadd 화면은 너무 길어 생략하겠음..!!)

설치가 다됬으면 설치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패키지의 기본 설치디렉토리는 /usr/local 이다.)


데이터베이스를 초기화 해준다.

근데...ㅡ.ㅡ;;;
아래 메세지가 나왔다..


이런젠장...ㅡ.ㅡ;;
음..뭔가 폴더가 있어야 하는가 보다...ㅡ.ㅡ;;

찾아보니 data 폴더를 postgres 라는 권한자를 생성하여, pgsql 폴더 밑에 data 폴더를 만들고 권한을 준다...
일단 난 패키지 설치를 했기 때문에, /etc/passwd를 보니 postgres 라는 사용자가 자동으로 추가 되어있었다..


UID와 GID가 90이다... 일단 확인 완료~!!!!

그럼 이제 data 폴더를 만들고 실행~!!!



제길...이번엔 root 권한으로 하지 말란다...ㅡ.ㅡ;; 장난하냐~!!!!!
그럼 일단 다시~ data폴더의 권한을 변경후 postgres로 계정 변경을 하고, 실행!!!!!




(중간 생략...)



마지막에 위 그림처럼 메세지가 나오면 성공!!!!! (휴~ 힘들군..)

위 작업으로 기본데이터베이스가 생성이됬다..
그럼이제 데이터베이스를 가동해보자~!!!!!!



ps 명령어를 실행하여 지금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해 본다...위 그림에 프로세스번호 1425 확인~!
역시 ps에서도 1425가 확인 된다...(postgres)



이렇게 되면 데이터베이스가 동작 된거라고 한다~

그럼 이제 로그인을 해보자~


'template1=#' 이것이 명령어 대기 쉘이라고 한다...(모양한번 이상하네.ㅡ.ㅡ;;)

자~ 이제 해야할것이 있다...바로 postgres 패스워드 변경, 그리고 postgres를 패스워드 모드로 작동하게 하는 변경 작업이다. (postgreSQL은 기본적으로 아무나 접근이 가능하다고 한다...왜일까?? )

우선 패스워드부터 변경을 해보자~ (작업하다가 약간의 오타가 났다..ㅡ.ㅡ)



일단 빠져나온 후, /usr/local/pgsql/data/pg_hba.conf 파일을 수정한다.



pg_hba.conf 의 내용중 아래 trust를 password로 변경해준다..



그리고 재구동하고 다시 로그인을 해보자~!!!
어라~ 근데...중지를 못한다..ㅡ.ㅡ;;


일단 뭔지 모르겠지만...아까 postgreSQL을 빠져 나올때 ctrl+z 로 나와서 그런것 같은 느낌이 든다...
설명서를 읽어보니 종료하는 벙법이 몇가지 적혀 있는데 fast 로 리스타트를 해보겠다..




일단 restart 성공~!!!

다시 로그인을 해보자...



자~ 비밀번호를 물어본다..ㅋㅋ

설치 성공...!!!

무려 4시간동안 설치했다..ㅡ.ㅡ;; 힘들다...;;;;;;;;;

참고: 몇가지 유용한 팁!
\q: 나가기
\d: 테이블목록 확인
\d 테이블명: 테이블상세 보기
\?: 관리쪽 명령어 보기
\h: SQL 명령어 확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음...이제는 점점 설치의 속도가 붙는것 같다...;;

뭐 패키지 설치는 간단한거기에...ㅋㅋㅋㅋㅋㅋㅋㅋ

이번에는 zlib다...이름에서 알수있듯이..이건 라이브러리 이다..

뭐할때 쓰는 라이브러리냐~하면...압축 프로그래밍을 할때 쓰는 라이브러리 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사이트를 참조


다운로드와 설치는 아래를 참조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