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자~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개발환경을 만들어 보자~!
우선 첫번째로 gcc를 설치해보자...

(설치한 vm은 SPARC 버전이 아니다..intal을 확인하자~!!)

내가 설치하려는 gcc의 버전은 3.4.6 이다.
(버전까지 지정해서 환경을 설치하라고 하다니...치밀한 것들..ㅡ.ㅡ;;)

솔라리스10을 일본어로 설치는 했지만, 일단 내가 일본어가 많이 딸리는 관계로 다시 한국어로 설치했다..ㅋㅋㅋ 
일단 여기서 테스트하고 일본어로 넘어가는 편이 좋을 하기때문에...;;;

그럼 이제 설치를 해보자...일단 설치전, 위 홈페이지에 잘 찾아보면....gcc가 정상적으로 실행이 될려면 libiconv도 받아서 설치해야 한다. 일단 이건 gcc 설치후~ 하는 일이다..그래도 일단 참고~

1. gzip을 푼다.
#gzip -d gcc-3.4.6-sol10-x86-local.gz

2. 패키지를 추가한다.
#pkgadd -d gcc-3.4.6-sol10-x86-local

3. gcc를 어디서나 사용가능하도록 PATH를 설정하자.

#vi /.profile
==> PATH=$PARTH:/usr/local/bin

* 참고
 위처럼 작업을 하면 root는 gcc를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사용자는 일일이 .profile에 위 PATH를 설정해줘야 한다.

#ln -s /usr/local/bin/gcc /usr/bin/gcc
라고 하주면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가 gcc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4. libiconv-1.1-sol10-x86-local.gz 를 다운받자. (gcc와 같은 사이트에 있으니 잘 찾아보면 된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압축풀고, 패키지추가를 해주자.

5. 확인 한다.
#gcc
gcc: no input files

위처럼 나오면 정상 설치 완료~!!!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솔직히 컴퓨터관련 학부를 나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리눅스를 접해보았을 것이다.

난 리눅스를 접해볼 기회가 그렇게 많지 않았다. 그리고 일단 리눅스가 싫었다.
명령어를 입력해서 작업을 해야한다는 것이 윈도우에 익숙한 나에겐 정말 귀찮은 일이였기 때문에..;;;
(그 수많은 명령어를 어떻게 외우냐고~!? 무슨 개발자가 만제도 아니고~ 다시 DOS를 쓰는 듯한 기분..;;)

학교를 졸업하고 처음으로 들어간 회사에서 이게 무슨 날벼락인지 모르겠지만, 유닉스를 사용했다. 
그때는 초년병이였기 때문에, 간단한 작업을 했다. (어려운 작업은 과장님이 해주셨다...휴~;;)

근데 나도이제 유닉스를 관리해야 할 시점이 점점 오고있다는 생각이 든다.
잡담은 그만하고.....ㅋㅋㅋ

오늘은 유닉스에 대한 기본적인 공부를 해보자.

유닉스 ??

1. 일반적 특징
1) 다중사용자 환경(Multiuser)
 터미널로부터 컴퓨터와 직접 통신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을 억세스하는 사용자를 다수 허용한다. 이는 시스템 자원 이용도를 증가시키고, 시스템 비용을 줄여준다.

2) 다중작업 환경(Multitasking)
 한싯점에 여러개의 작업을 실행하는 것을 허용한다. 사용자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증대한다.

3) 호환성(Portability)
 여기서 말하는 호환성은 한 종류의 컴퓨터에서 다른 종류의 컴퓨터로 이동하는 능력이 좋다는 뜻... 즉 운영체제의 대부분이 특정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는 형식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가능 한다.

4) 강력한 개발도구들 (Powerful Development Tools)
 수많은 명령어들을 서로 조합하여 새로운 명령어들을 생성할수 있다. 유닉스는 프로그래머에의해 설계 및 프로그래머를 위해 설계된 운영체제이다.


2. 구성요소

유닉스 시스템은 Kernel, Shell, Command라는 3개의 중요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1) Kernel
 시스템 부팅이 될때 메모리내에 위치(Load) 되어지는 프로그램이다. 메모리 관리, 프로세서 시간 할당, 입력 및 출력의 제어를 수행함으로 인해 운영체제의 관리자 또는 핵심이라 불리운다.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제어를 할 수 없다.

2) Shell
 Shell 프로그램은 로그인시에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개시되고, 명령어 실행을 초기화하고 번역함에 의해 커널과 사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Shell은 시스쳄 관리자가 사용자를 시스템에 등록하였을때 사용자에 할당된다. 관리자는 언제든 사용자의 Shell을 변경할 수 있다. Shell은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거나 새로운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3) Command
 명령어는 사용자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명령어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일종의 도구 역활을 수행한다. 유닉스는 새로운 명령어를 생성하기 위해 복합될수 있는 수백개의 명령어를 제공한다. MAPPER와 Oracle같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쉘을 통하여 억세스 될 수 있다.


3. 화일 시스템과 화일 구조

1) 화일 시스템
 유닉스 화일 시스템은 화일의 집합 또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장소들로 구성된다. 유닉스에는 디렉토리, 일반 화일, 특수 화일,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 화일등 4가지 형태의 화일들이 있다. 이러한 화일들은 그들이 쉽게 억세스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배치 구조속에 배치되게 된다.

* 유닉스 화일의 종류
 - 디렉도리(directory)는 다른 화일과 디렉토리에 대한 화일명, 화일의 억세스 권한, 화일의 크기, 생성 날짜, 수정 날짜등의 정보를 유지 관리한다. 디렉토리는 서로 연관되는 화일들을 묶어서 관리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디렉토리는 데이타를 갖지 않으며, 다른 화일 또는 다른 디렉토리로의 포인터만을 저장하게 된다.

 - 일반 화일(ordinary file)은 디스크와 같은 특정의 기억 장치상에 존재하는 문자들의 집합이다. 일반 화일들은 이후의 사용을 위해 저장된 정보, 문서, 프로그램 코드등을 포함할수 있다. 

 - 특수화일(special file)은 디렉토리처럼 데이타를 작고 있지 않다. 기본적으로 이 화일은 디스크 드라이브, 터미널, 프린터와 같은 각정의 하드웨어 장치로의 포인터들이 들어 있다. 각각의 하드웨어 장치들과 연관되는 특수 화일들은 /dev 디렉토리내에 위치된다.

 -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된 화일들은 유닉스 화일 시스템내의 다른 화일들을 가르키는 정보(포인터 또는 절대 경로)를 작고있는 화일이다.

2) 화일의 구조
 유닉스 화일들은 회사의 조직 구성표와 유사한 계층적 구조 또는 단계 구조로 구성된다. 이 방식은 정보를 관리, 검색, 구성하는데 효율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계층적 구조상에서 가장 높은 단계인 root 디렉토리로 부터 서브 디렉토리들과 서브 화일들이 분기된다. 이 점에서 유닉스 화일구조는 꼭대기에 뿌리와 모든 가지들이 그로부터 밑으로 향해가는 거꾸로된 나무처럼 보여질수도 있다. 시스템상의 모든 다른 화일들과 디렉토리들은 '/' 로 표현되는 root 디렉토리에 연결된다.

서브 디렉토리는 다른 화일 또는 화일과 서브 디렉토리들을 갖고있는 서브 디렉토리들을 갖고 있을 수 있다. 디렉토리와 그에 종속되는 서브 화일, 서브 디렉토리들 사이에는 부모-자식 과계의 연관 관계가 존재한다. 각각의 부모 디렉토리는 바로 아래 단계의 화일과 디렉토리들에 대한 정보를 유지 관리한다. 사용자에게는 로그인시에 홈디렉토리라고 부르는 유일한, 초기의 디렉토리를 할당한다. 사용자가 화일 계층구조에서 위치를 변경할때에, 각 디렉토리 위치들은 위치가 다시 바뀔때까지 current directory 가 된다.



쓰고나니 좀 복잡 스럽지만, 이것을 구지 외울 필요는 없지 않을까?? 그냥 이해만 하고 넘어가도록 하자..!!
아직 높은 산들이 많기때문에...;;;;

참~ 이글은 http://unix.co.kr 에 나온 강좌 부분을 내 필요따라 정리 한 것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자~ 이제 사용자도 만들었겠다..슬슬 쉘을 건드려보자..!!
(관리자 쉘은 일단 배제하도록 하자..뭐 관리자계정부터 바꾸면 좋겠지만, 그러다 탈날라~~ㅋㅋ)
일단 난 기본적으로 C쉘을 이용할 것이다. (왜냐면 예전부터 이것을 이용했고, 편하니깐..)

새로만든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보자~!! 
그리고 ls를 이용하여 어떤 파일이 있는지 확인 해보자~!!
(설마 ls가 뭐야?? 라고 하는 사람은 없겠지?? ㅡ.ㅡ;;)
일단 ls -a 명령어를 이용해 디렉토리에 나온 파일들을 보면..위처럼 나온다.
( 처음엔 .cshrc 파일이 없다. 이 글을 쓰기전 먼저 테스트를 했기 때문에, 만들어져 있는것이다.)

자~ 보면 알겠지만 파일명 앞에 '.' 으로 시작하는 것은 숨겨져 있는 것을 알수 있다.
지금부터 난 이 파일들을 조작 할 것이다. 
- 참고 : 로그인시 끝이 rc로 끝나는 파일을 로딩한다고 한다.(당연히 앞엔 '.'으로 시작하겠지..)

참 친절하게도 local.cshrc 라는 파일이 있다. (대충 여기에 기본적으로 뭔가가 적혀있다.)
이것을 .cshrc 파일로 복사를 한다.

cp local.cshrc .cshrc

이러면 .cshrc라는 파일이 복사가 된다.!!!!! (복사명령어도 모르면 곤란하지~!!)
복사된 .cshrc 파일을 vi를 열어서 수정한다. (난 이미 작성 되어있으니..아래 그림을 참조한다.)

기본적으로 alias 부분만 작성을 했다. 
각각의 설명은 구지 하지 않도록 하겠다. 인터넷에 무궁무진하게 많은 자료가 있으니...ㅋㅋ 

이렇게 저장을 하고 나오면 ......... 적용해야겠지??ㅋㅋㅋ
쉘을 적용하는 명령어는 
source .cshrc
이다. 아래는 실행 결과이다.
보면 알겠지만...변한것이 분명 있다...(없다고 하지마라..눈에 보이니깐~!!)

명령어 치는 부분..즉 prompt가 .cshrc에 설정한 prompt 로 변경이 되어있는 것을 볼수있다.
이렇게 하면 login시 .cshrc를 실행하여 설정 항상 맞춰 준다...!! 

물론 .cshrc에 많은 것을 설정 할수 있다. PATH, setenv ....등등등...
하지만 난 아직 초보니깐..^^;; 여기까지만 ~!!!

P.S : 마지막 alias 로 지정한 ahn, pd는 삭제해야 한다...!!!! (나도 인터넷보고 하다가 필요없는데 들어간듯...지송~^^)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오늘 계정을 만들다가 뻘짓을 했다. ㅡ.ㅡ;;
처음에도 말했듯이 난 Solaris를 사용만 해봤지, 관리는 해보지 않았다. (리눅스면 몰라도;;;)

우선 처음에 알아두어야 할것은...
1. 유저가 생성되면 기본 디렉토리는 /home 이 아닌 /export/home 이라는 것이다.
2. useradd [유저명] 으로 생성하면 안된다. (안되는건 아니지만...살짝 귀찮아진다고 해야하나.;;)
3. 계정생성 전에 그룹을 먼저 만든다. (설명은 글 중간에 있다..)

일단 유저 생성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useradd -u [유저ID실별번호] -g [그룹ID식별번호] -d [홈디렉토리] -s [쉘] -m [유저명]

여기서 -m 옵션은 뭔지 잘은 모르겠다..ㅡ.ㅡ;;
혹시 아는 분은 댓글로 남겨주기 바란다.

[유저ID실별번호] -> 1~99를 제외한 숫자를 입력한다. 단, 생성할 계정의 식별번호는 독립적이여야 한다.
- /etc/passwd 에서 없는 번호를 찾아서 부여해주면 된다.

- 1~99는 유닉스에서 사용하는 특정 식별번호라고 한다. 그러니 사용하지 안도록 한다.
- 위 그림에서 보는것과 같이 난 100번을 지정하였다...(아무래도 차례대로 지정하는것이 관리하기에 편할거라 생각했음...)

[그룹ID식별번호] -> 유저 식별자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한다.
- 참고 <그룹만들기>
groupadd -g [그룹식별자번호] [그룹명]
 - 그룹식별자번호는 /etc/group 에서 확인 가능함

[홈디렉토리] -> 홈디렉토리는 /export/home/[유저명]으로 지정한다. (다른걸로 지정해보지는 않았음...)
- 참고 : Solaris에서 /home은 root권한으로도 폴더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autoFS 라는 것때문에 그렇다고 한다. /etc/auto_master에 보면 /home이 뭔지 모를 작업이 되어있다. 난 그냥 넘어갔다. 이것 역시 아는 사람은 댓글로 남겨주기 바란다.)

[쉘] -> 기본적으로 사용할 쉘을 지정한다.
- 보통: /bin/csh 또는 /bin/ksh , /bin/sh 를 사용한다. (이부분은 각자 알아서 ...ㅋㅋ)

[유저명] -> 계정으로 사용할 ID를 기입한다.


Solaris에 대한 기본지식도 없이 작업할려니 여간 힘든것이 아니다. (책을 사라고 하는 사람이 있을것 같아서 하는 말이지만...여기 한국어로된 책이 없다...있어도 한국가격에 2배정도 한다...배송을 하고싶어도 배보다 배꼽이 더 크기때문에 무리다...;;;)
책도 없고, 오로지 인터넷에의한 정보로 작업해야 한다는 생각에 짜증이 나지만..그래도 오늘 하나는 제대로 배운듯...

힘들구나...;;;

아~ 패스워드도 설정해야한다...!!!
이건 간단하게 설명하면...
passwd [유저명]
하면 패스워드입력 하라고 나오는데...거기에 원하는 패스워드 입력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자~ 이제 본격적으로 설치를 시작해보겠다.
사용자들 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수 있음을 미리 말한다.
(난 일본어로 설치를 해야하기 때문에...;;;)

1. VMware에서 파란 삼각형을 클릭하여 Virtual machine을 구동한다.


2. Solaris 를 선택한다.


3. 다음 화면에서는 3번 Text 모드를 선택하도록 한다.


 - 1번 그래픽 모드로 선택하여 설치할수도 있다. 그러나 리소스를 많이 잡아먹는다는 말에 쫄았다..;;;

4. 키보드를 선택한다.


- 그냥 F2를 눌러 넘어가도록 한다. (키보드가 인식이 안될수도 있다고 한다. 설마 그럴리가...ㅡ.ㅡ;;)

5. 자~ 이제 설치를 하겠다는 말이 나온다. 여기서는 그냥 엔터~



6. 언어를 선택한다. (난 일본어를 선택하겠다...)



7. 네트워크를 사용한다면, Yes를 선택한다.


8. DHCP는 사용하지 않는다.


9. 호스트 명을 기록한다.


10. IP를 지정한다. (난 지정된 IP가 있다...바꾸고 싶어도 못 바꾼다...IP설정은 자신에 맞게 설정하도록 한다.)

11. 서브넷마스크을 사용한다.


12. 서브넷마스크를 입력한다. 
통상적으로 C class에 맞춰져있다.


13. IPv6는 사용하지 않으므로 No를 선택한다.


14. 라우터 설정을 한다. (메뉴중 가운데...즉, 지정을 선택한다.)


15. 라우터의 주소는 아래 보이는 VMware 메뉴->Edit -> Virtual Network Settings 의 NAT를 보고 적어주면 된다. 

- 아까 10번의 IP 지정도 이것을 보고 적어주면 되는데...주위할 점은 마지막 부분의 숫자는 3~254 까지다..


 - 부가적으로 설명을 하면 VMware의 가상VMnet8이 NAT gateway 역할을 하고 있다.

16. 설정을 확인한다.


17. 커버로스 보안구성에 대한 질문인데..잘 모르기때문에 NO 선택후 넘어간다.


18. 이름 서비스...이부분도 잘 모르겠다. 그냥 None를 선택하고 넘어가자..;;;
(나중에 설정할수도 있는 부분이다.)


19. 다음화면도 모르겠으니 그냥 넘어가자.


20. 시간대 설정 (각자 자기가 현재 위치한 곳을 선택하도록 한다.)


21. Root 계정의 암호를 설정한다.


22. 원격서비스 선택...Yes를 선택한다... 원격접속도 해야하기 때문에...;;;


23. 설치는 표준으로 설치를 한다. (F2로 넘어가도록 한다.)


24. CD는 자동 배출로 선택하고, 다음에 나오는 재부팅설정도 자동으로 한다.



25. 정보확인


26. 지역 확인


27. 언어 확인


28. 추가소프트웨어 설치 (none)


29. 설치방식(Developer System Support)


30. 파티션 설정


31. 파티션(Auto Layout)














32. 설치정보 확인


33. 설치 시작..(시간이 꽤 걸린다...)



34. 설치 후 root로 들어가 확인 해본다.



지금까지 Solaris10을 설치해 보았다. 화면이 많다 보니 글이 많이 길어졌는데, 사실 설치는 그렇게 복잡하지 않게 진행된다. 어찌보면 windows 설치보다 간편한것 같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블로그에 처음으로 글을 올리는 글이 먹고 살기위해 올리는 글이 되었네요.
처음 이 블로그를 만들땐, 이런 글을 좀 올리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으로 만든건데..ㅡ.ㅡ;;
처음 글이다보니 약간의 어설픔이 느껴지더라도 양해를 구하겠다.

뭐 잡담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이제부터 Solaris10을 VMware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작성하겠다.
글쓰는 나도 Solaris10 설치는 처음이라, 아래 블로그에 올라온 글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는 것을 미리 말한다.

http://blog.naver.com/last98

1. VMware의 File>New>Virtual Machine를 클릭한다.

2. Typical을 클릭하도록 한다.

- Custom으로 설정을 할수도 있겠지만, 간편하게 Typical을 선택해도 크게 상관은 없다. 크게 상관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기 바란다.

3. 설치할 OS, Version을 선택한다.

- 내 PC는 32-bit이기 때문에 64-bit를 선택하지 않았다.

4. VM파일이 생설될 디렉토리를 지정하고 Virtual machine의 이름을 설정한다.

5. Network connection을 선택한다. (NAT를 선택한다.)

 - Network connection에 대한 설명을 구지 하지는 않도록 하겠다. 여러 인터넷 사이트를 돌아다니면서 관련 설정 정보를 찾아보았으나,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방식으로 하는 것이 좋겠다는 판단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단 다른 설정으로 몇가지 OS를 설치해 보았으나, 인터넷이 안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혹시 이부분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아시는 분은 댓글 부탁~)

6. Disk size 설정을 하도록 한다.

 - 지금 내컴퓨터에 남아있는 용량이 적기때문에 10GB를 선택하였다. 초보설치자이며, 하드가 널널한 사람은 20GB씩 팍팍~ 주도록 한다.
 - Allocate all disk space now를 체크하는 이유는 위에 설정한 10GB를 미리 파일로 만들어 사용하겠다는 것인데, 이렇게하면 약간 빠르다고 한다. (실제로 나도 처음으로 해보는 것이다... ㅡ.ㅡ;;)

7. 파일을 만드는 과정이 나오면 성공...(지정된 용량을 만드는데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다.)

 - 10GB 파일 생성시 약 14분의 시간이 지난것 같다. 컴퓨터가 노트북이라 그런지 약간 시간이 걸린다. 이시간에 멍잡지 말고, 다른 유익한 일을 하도록 하자!

8. 완료가 되었다. 정말 오래 걸린다.ㅡ.ㅡ;

 - 위에 나오는 Devices에서 만약 FDD가 있다면 Edit virtual machine를 눌러 제거 하도록 한다.
 - 그리고 Memory가 4GB인 사람은 512보다 더 줘도 괜찮다. (메모리를 많이 주면, 컴퓨터가 느려질수 있다. 난 2GB니깐 512MB만...)

9. Solaris10 설치 ISO 파일을 지정한다.


지금까지 Solaris10을 설치하기 위한 VMware 설정 부분을 보았다.
본격적인 설치는 다음 글부터..;; (괜히 한 것도 없이 힘들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