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어제 설치를 어느정도 하고나서, 새로운 난관이 앞에 기다리고 있었다...ㅡ.ㅡ;;

ip가 변경이 된것이다. 다행히 여기에서 같이 일하는 사토야마상이 해결해 줬지만..왠지 그냥 넘어가기에는 찜찜해서 자료를 좀 조사를 했다..


솔라리스는 모든 시스템 의 설정 값들을 /etc 안에 저장하게 된다고 한다.

이중 네트워크 관련 파일은 다음과 같다..

1. /etc/hosts
2. /etc/hostname.fjgi0 혹은 /etc/hostname.hme0
3. /etc/defaultrouter
4. /etc/resolv.conf
5. /etc/nsswitch.conf
6. /etc/inet/netmasks

이들 파일의 설정들을 바꾸어 준 후 재쿠팅을 하면 ip 설정이 변경이된다.

영구히 ip 바꾸기 


1. vi /etc/hosts
127.0.0.1 localhost
xxx.xxx.xxx.xxx 서버이름
 
위와 같이 되어있으며 이곳에 라우터등의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즉
 
127.0.0.1 localhost
xxx.xxx.xxx.xxx 서버이름
xxx.xxx.xxx.xxx 라우터이름(정해주면 된다. ip는 사용하고 있는 라우터 ip를 주면 된다.)
xxx.xxx.xxx.xxx 도메인이름(위와 같다)
  
2. vi /etc/defaultrouter
xxx.xxx.xxx.xxx 이렇게 직접 ip를 줘도 되고
라우터이름 <- hosts파일에서 설정한 라우터 이름으로 줘도 된다
 
3. vi /etc/resolv.conf
nameserver xxx.xxx.xxx.xxx 이렇게 직접 ip를 줘도 되고
nameserver 도메인 이름 <- hosts파일에서 설정한 도메인 이름으로 줘도 된다.
 
4. /etc/nsswitch.conf 
# /etc/nsswitch.files: 
# An example file that could be copied over to /etc/nsswitch.conf; it 
# does not use any naming service. 
# \"hosts:\" and \"services:\" in this file are used only if the 
# /etc/netconfig file has a \"-\" for nametoaddr_libs of \"inet\" transports.
passwd: files 
group: files 
hosts: files dns ~~~~~dns라는 말을 추가하여준다. 
ipnodes: files
networks: files 
protocols: files 
rpc: files 
ethers: files 
netmasks: files 
bootparams: files 
publickey: files 
# At present there isn\'t a \'files\' backend for netgroup; the system will 
# figure it out pretty quickly, and won\'t use netgroups at all. 
netgroup: files

5. /etc/inet/netmasks file을 열고 맨밑부분에 netmask값을 넣어준다. 
# The netmasks file associates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 masks with IP network numbers. 
# network-number netmask 
# The term network-number refers to a number obtained from the Internet Network 
# Information Center. Currently this number is restricted to being a class 
# A, B, or C network number. In the future we should be able to support 
# arbitrary network numbers per the Classless Internet Domain Routing 
# guidelines. 
# Both the network-number and the netmasks are specified in 
# \"decimal dot\" notation, e.g: 
# 128.32.0.0 255.255.255.0 
xxx.xxx.xxx.0 255.255.255.0 
~~~~~~왼쪽은 IP에서 끝자리는 0으로 하고, 오른쪽은 Subnet값을 넣어준다.
  
6 /etc/hostname.hme0 혹은 /etc/hostname.fjgi0 파일에 서버이름을 적어준다.

7 마지막으로 시스템을 리부팅한다.






임시 ip 바꾸기 




임시로 ip를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임시로 ip를 설정하면 재부팅 시 그 효과를 잃게 된다.
임시로 변경 ip를 변경해 보자
일단 ifconfig -a의 명령어로 현재 셋팅되어있는 ip를 알아보자

lo0: flags=1000849<UP,LOOPBACK,RUNNING,MULTICAST,IPv4> mtu 8232 index 1
        inet 127.0.0.1 netmask ff000000 
fjgi0: flags=1000843<UP,BROADCAST,RUNNING,MULTICAST,IPv4> mtu 1500 index 2
        inet xxx.xxx.xxx.xxx netmask xxxxxxxx broadcast xxx.xxx.xxx.xxx
        ether 0:b:5d:f3:a2:c6
 
이제 변경해 보자 
ifconfig fjgi0 inet xxx.xxx.xxx.xxx netmask xxx.xxx.xxx.xxx broadcast + up
 
이제 임시로 ip와 netmask가 변경 되었다.
ifconfig -a로 변경 되었는지 확인해 보자
  
서버의 Network cable을 연결할 Port가 남아 있는가?
서버를 봤을 때 4개의 port가 있는데 그 중 3개만 사용할 경우
나머지 하나도 마저 사용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한다.
 
# cd /etc
# ls -l hostname*
의 결과가
hostname.hme0
hostname.hme1
hostname.hme2
라면
 
# ifconfig hme3 plumb
# ifconfig hme3 xxx.xxx.xxx.xxx netmask yyy.yyy.yyy.yyy broadcast + up
xxx.xxx.xxx.xxx: 해당 IP를 넣는다
yyy.yyy.yyy.yyy: 해당 Netmask를 넣는다.
설정이 끝나면 확인해 보자
# ifconfig -a
 
현재사용하고 있는 port를 사용하고 싶지 않다면
# ifconfig hme3 down unplumb
 
확인해 보자
# ifconfig -a
  
팁: netstat -rn 명령어로 현재 셋팅되어있는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살짝 애를 먹긴했는데...어찌됐던...성공했다...ㅋㅋㅋ

참고로 다음 사이트에 나오는 방법을 보고 따라했다..


1. JK를 다운 받는다. 




2. gunzip 과 tar 의 압축을 풀어준다.



3. 압축이 풀린 폴더의 native 폴더로 이동한다.



4. 아래 작업을 실행한다.
# configure --with-apxs=/usr/local/apache2/bin/apxs

* 주위 : apache가 구동되고 있으면 안된다.


5. 위 작업이 끝났으면 make, make install 을 실한다. 그리고 아파치의 conf 폴더로 이동하여 workers.properties 를 만들어준다.



6. 아래 내용을 작성한다.



7. httpd.conf 를 열어서 마지막에 아래의 문구를 추가한다.




- 여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내가 참고한 사이트를 보기 바란다.

8. 자~ 이제 확인해보자~!!! 




조낸 힘들다...ㅡ.ㅡ;;;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굉장히 간한하다.

우선 사이트에서 다운을 받자..



압축을 풀고 폴더를 이동하면 설치 끝...


환경설정은 필수~ (이제 인건 알아서 하자~!!!!)

그리고 구동시킨후 웹으로 확인하자...(근데..왜 IP로 접속하면 화면이 뜨지 않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일단 파일을 다운 받자...

사이트 : http://java.sun.com

(사이트에서 다운받는 부분은 모두 알거라 생각한다. 설치할 플렛폼을 잘 선택하여 다운받자...)
다운시 .sh 파일로 다운받자...<-- 이것이 자동설치 파일...

다운 받은 파일을 실행하면 실행이 안될것이다..
바로 권한때문이다...파일에 쓰기권한을 줘야 실행이 된다.

# chmod +x [java 파일명].sh

그리고 파일명 실행...

# [java 파일명].sh

그럼 일단 설치는 완료다...!!

이제 설정을 해줘야 한다...

솔라리스는 본래 자바가 기본적으로 깔려져 있다..
하지만 난 최신버젼으로 깔거라..ㅋㅋㅋ

일단 기존에 걸려있는 링크를 지워야한다..

# rm  /usr/java

그리고 새로 설치한 jdk에 링크를 만들어 준다.

# ln -s /usr/local/[java 설치폴더] /usr/java


마지막으로 /.profile에 패스추가하면 끝.~!!!


버젼확인은 해야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자~ 드디어 아파치를 설치 해보자..
일단 프로그램을 다운받자..(종속프로그램도 모두 다운을 받자..혹시 모르는 경우를 대비해서..)


여기 중요한것은....Tomcat과 연동을 하기위해서는 패키지 설치로 하면 잘 안된다는 것이다..
(왜 안되는지 잘은 모르겠지만...ㅡ.ㅡ;;)
그리고 패키지로 설치하면 $APACHE/conf/httpd.conf 파일이 없다..
이게 왜 없는지는 잘 모르겠다...어디서 만들어줘야 하나???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 
제길...

그래서 결국 소스버전으로 설치를 하기로 했다...위 화면에서 패키지 버젼말고 밑으로 조금만 눈을 내리면 소스버젼이 있으니 그것을 받도록 하자~

그리고 설치하자...

1. 받은 파일을 gunzip으로 압축을 풀고 tar도 풀자~


2. 압축이 풀린 폴더로 이동하여 
# configure --enable-so --enable-mods-shared=most
명령어를 실행하자.


3. make를 실행하자. 
(make는 솔라리스 설치시 설치 되었는데..난 그거 모르고 새로 설치를 해버렸다..ㅡ.ㅡ;)

* 주의
1. /.profile에 PATH가 추가되어 있어야 한다. (/usr/ccs/bin)
2. /.profile에 LD_LIBRARY_PATH가 추가 되어있어야 한다.
(export LD_LIBRARY_PATH=/usr/local/lib:/usr/lib)



4. 에러없이 make가 실행 됬다면 make install을 실행한다.


5. 설치가 끝났다면 /.profile PATH에 아래 경로를 추가해준다.


6. 설치된 /usr/local/apache2/conf/httpd.conf 파일에 아래 부분을 수정해준다. 

* 주의
1. 솔라리스에서는 Group #-1 을 그냥 두고 실행하면 안된다..왠지는 모른다..근데 정말 안된다..
2. ServerName을 도메인명 or IP로 설정한다.


7. 아파치를 실행한다. 잘되는지 프로세스도 검사~


8. 자~ 이제 웹으로 확인해보자~!!!!



오늘 아파치 설치할려고 생각한 뻘짓은...정말..한도 끝도 없다...ㅡ.ㅡ;;
제길...뭐 그래도 얻은게 크다~

휴~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오늘은 어제에 이어서 나머지 설치를 해야하는데...;;;
약간 난이도가 있을것 같다...좀 복잡한게 남은듯..ㅡ.ㅡ;;

일단은 postgrSQL을 다운을 받자~!!




우선...postgreSQL... 이건 뭘까..?? database인건 알겠는데...처음 들어보는 거다...
일단 꽁짜니깐..MySQL 정도라고 생각하고 넘어가자~!!!!


자~ 일단 패키지로 받았기 때문에 어제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를 해보자~!!


(pkgadd 화면은 너무 길어 생략하겠음..!!)

설치가 다됬으면 설치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패키지의 기본 설치디렉토리는 /usr/local 이다.)


데이터베이스를 초기화 해준다.

근데...ㅡ.ㅡ;;;
아래 메세지가 나왔다..


이런젠장...ㅡ.ㅡ;;
음..뭔가 폴더가 있어야 하는가 보다...ㅡ.ㅡ;;

찾아보니 data 폴더를 postgres 라는 권한자를 생성하여, pgsql 폴더 밑에 data 폴더를 만들고 권한을 준다...
일단 난 패키지 설치를 했기 때문에, /etc/passwd를 보니 postgres 라는 사용자가 자동으로 추가 되어있었다..


UID와 GID가 90이다... 일단 확인 완료~!!!!

그럼 이제 data 폴더를 만들고 실행~!!!



제길...이번엔 root 권한으로 하지 말란다...ㅡ.ㅡ;; 장난하냐~!!!!!
그럼 일단 다시~ data폴더의 권한을 변경후 postgres로 계정 변경을 하고, 실행!!!!!




(중간 생략...)



마지막에 위 그림처럼 메세지가 나오면 성공!!!!! (휴~ 힘들군..)

위 작업으로 기본데이터베이스가 생성이됬다..
그럼이제 데이터베이스를 가동해보자~!!!!!!



ps 명령어를 실행하여 지금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해 본다...위 그림에 프로세스번호 1425 확인~!
역시 ps에서도 1425가 확인 된다...(postgres)



이렇게 되면 데이터베이스가 동작 된거라고 한다~

그럼 이제 로그인을 해보자~


'template1=#' 이것이 명령어 대기 쉘이라고 한다...(모양한번 이상하네.ㅡ.ㅡ;;)

자~ 이제 해야할것이 있다...바로 postgres 패스워드 변경, 그리고 postgres를 패스워드 모드로 작동하게 하는 변경 작업이다. (postgreSQL은 기본적으로 아무나 접근이 가능하다고 한다...왜일까?? )

우선 패스워드부터 변경을 해보자~ (작업하다가 약간의 오타가 났다..ㅡ.ㅡ)



일단 빠져나온 후, /usr/local/pgsql/data/pg_hba.conf 파일을 수정한다.



pg_hba.conf 의 내용중 아래 trust를 password로 변경해준다..



그리고 재구동하고 다시 로그인을 해보자~!!!
어라~ 근데...중지를 못한다..ㅡ.ㅡ;;


일단 뭔지 모르겠지만...아까 postgreSQL을 빠져 나올때 ctrl+z 로 나와서 그런것 같은 느낌이 든다...
설명서를 읽어보니 종료하는 벙법이 몇가지 적혀 있는데 fast 로 리스타트를 해보겠다..




일단 restart 성공~!!!

다시 로그인을 해보자...



자~ 비밀번호를 물어본다..ㅋㅋ

설치 성공...!!!

무려 4시간동안 설치했다..ㅡ.ㅡ;; 힘들다...;;;;;;;;;

참고: 몇가지 유용한 팁!
\q: 나가기
\d: 테이블목록 확인
\d 테이블명: 테이블상세 보기
\?: 관리쪽 명령어 보기
\h: SQL 명령어 확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음...이제는 점점 설치의 속도가 붙는것 같다...;;

뭐 패키지 설치는 간단한거기에...ㅋㅋㅋㅋㅋㅋㅋㅋ

이번에는 zlib다...이름에서 알수있듯이..이건 라이브러리 이다..

뭐할때 쓰는 라이브러리냐~하면...압축 프로그래밍을 할때 쓰는 라이브러리 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사이트를 참조


다운로드와 설치는 아래를 참조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자~ 이제 readline을 설치해보자...
근데..이건 또 뭐냐...readline... 무슨 함수같기도 하고..ㅡ.ㅡ;;

인터넷을 좀 검새해보니 자세히 나온것을 찾을 수는 없었다..

다만 wikipedia에 설명이 나온것 같다..참고해서 보도록 한다...(단, 영문이다..!!ㅋㅋ)



이것도 설치하는 방법을 구지 글로 쓰지는 않겠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제 다음으로...넘어가야하는데...ㅡ.ㅡ;;
gdbm이라...뭐지?? 제길...
(참고로 지금 설치하는 목록들은 이번에 새로들어가는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환경을 맞춰주기 위해 설정하는 것이다.)

gdbm...일단 모르고 설치를 하는 것 보다...알고 설치를 하는 것이 좋을것 같아..
그래서 약간의 조사를 해보자...!!

* gdbm 이란?
 - 리눅스용 DB 라이브러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여러가지가 존재한다고 한다.
그러나 그 중에서 임베디드에 가장 적합한것이 GND dbm이다.
GND dbm을 간단히 gdbm이라고 부르며, gdbm은 다른 DB라이브러리에 비해 크기가 작고, 검색속도가 빠르므로 임베디드용에 적합하다.

(음...간단히 DB 라이브러리 군....근데 임베디드용이라...ㅡ.ㅡ;;)


일단 다운부터 받자...!



자~ 이제 설치를 시작하자 설치는 gcc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한다.
(특별히 설명을 하지는 않는다...)



설치가 끝나면 경로 설정같은 것은 안해줘도 되나?????????????????????
모르겠다..ㅡ.ㅡ;;

일단 넘어가자...혹시 이부분에 대해서 안다면 댓글 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음...이부분은 원래 처음으로 해야하는 건데...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그냥 넘어갔던 부분이다...

관리자도 환경설정을 해줘야 한다는..ㅡ.ㅡ;;;

뭐 일단 모르는 것이였는데...한번 따라해봤다...

참고글..이라고 하기엔 뭐하지만...보고 쓴글...

1. 자신의 개인적인 환경설정
1) login shell 변경

#passwd -e

2) $HOME/.profile 생성과 편집
기본적으로 root(관리자)에게는 .profile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원형파일을 복사하여 사용한다. vi로 자신에 알맞은 환경을 설정한다. 그리고 실행..

#cp /etc/skel/local.profile $HOME/.profile
#vi $HOME/.profile



3) $HOME/.kshrc 생성 및 편집

#vi $HOME/.kshrc
파일 작성후 
#ksh
#. $HOME/.kshrc



2. vi 편집기에 대한 환경설정

#vi $HOME/.exrc
파일 작성후
#. $HOME/.exrc



3. 전체적인 설정을 확인
1) 로그인 쉘을 확인
   
2) 쉘 프롬프트를 확인
   위 그림보면 변경이 된것을 알것이다...
3) vi 환경설정 확인
    () <------ ()을 입력해 보면 커서가 움직이게 된다.





아~ 어렵다...ㅜㅜ;;
음....대부분의 관리자는 ksh를 사용한다고 한다. 
위 설명은 ksh 을 사용한 설정이다.

.profile에 쓴 것틀은 좀 연구를 해야겠다..ㅡ.ㅡ;;;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