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딩 윈도우 알고리즘은 배열 요소의 일정 범위 값을 비교할때 사용하면 유용한 알고리즘 입니다.
동작방식
일정 정수로 이루어진 배열 int[] arr= {3,1,5,3,4,1,5,7,5,1,8} 가 있다면, 길이가 5인 배열의 합계가 가장 큰 것은 무엇인가? 라는 문제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0번째 부터 4번째 (길이가 5이므로) 합을 구하고 저장합니다. 그리고 1번째 부터 5번째까지의 합을 구하고 저장후 처음에 구했던 값과 비교를 하여 큰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반복을 하면 됩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매번 for 루프로 모든 배열의 요소를 지정된 길이만큼 순회하며 합계를 구해 최대값을 구해야하므로 비효율적 입니다.
이것을 간단히 생각해보면 처음에 해당 길이만큼 합계를 구하는 것은 어쩔수 없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부터 매번 돌지 않고 인덱스 1~5까지의 합은 처음에 길했던 0~4까지의 합계에 0번째 배열의 값을 빼고, 5번째 배열의 값을 더한 값과 같습니다. 바로 이 부분에서 처음 구했던 0~4까지의 합계를 재사용하며 다음값을 구할 수 있는데, 이것이 슬라이딩 윈도우 알고리즘의 핵심입니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public class SlidingWindow_example {
static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static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atic int[] arr= {3,1,5,3,4,1,5,7,5,1,8};
static int n;
static int getFive(int index)
{
int sum= 0;
for (int i = 0; i<5; i++) {
sum += arr[i + index];
}
return su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n = arr.length;
int max = -9999;
int sum = getFive(0);
for (int i = 0; i <= n - 5; i++) {
if (sum > max) max = sum;
// 마지막순간에는 다음 것을 준비할 필요 없음
if (i == n - 5) break;
// 다음 것을 준비
sum += arr[i + 5];
sum -= arr[i];
}
System.out.println(max);
bw.close();
br.close();
}
}
Vue 사용 웹 앱을 개발하기 위해 알아야하는 페이지 이동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페이지 이동방법은 뷰 라우터라는 것이 있습니다. 뷰 라우터는 뷰에서 라우팅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식 라이프러리입니다. 이것을 이용하면 뷰로 만든 페이지간 간에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 집니다.
[참고] 라우팅이란 ? 웹 페이지 간의 이동방법, 싱글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에서 주로 사용, 화면전환이 매끄러움, 사용자 접근성 향상
뷰 라우터를 구현하는 태그는 아래와 같습니다.
<script src="https://unpkg.com/vue-router/dist/vue-router.js"> : 라우터 라이브러리 <router-link to="URL 값"> : 페이지 이동 태그 <router-view> : 페이지 표시 태그
직접 아래 예제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dir="ltr">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Vue Router Sample</title>
</head>
<body>
<script src="https://cdn.jsdelivr.net/npm/vue/dist/vue.js"></script>
<script src="https://unpkg.com/vue-router/dist/vue-router.js"></script>
<div id="app">
<h1>뷰 라우터 샘플</h1>
<p>
<!-- 1 : URL 값을 변경하는 태그 -->
<router-link to="/foo">Foo 이동</router-link>
<router-link to="/bar">Bar 이동</router-link>
</p>
<!-- 2 : URL 값에 따라 갱신되는 화면 영역 -->
<router-view></router-view>
</div>
<script>
// 3 : 컴포넌트 정의
var Foo = { template: '<div>foo</div>'};
var Bar = { template: '<div>bar</div>'};
// 4 : 각 URL에 맞춰 표시할 컴포넌트 지정
var routes = [
{ path:'/foo', component:Foo },
{ path:'/bar', component:Bar }
];
// 5 : 뷰 라우터 정의
var router = new VueRouter({
routes
});
// 6 : 뷰 인스턴스에 라우터 추가
var app = new Vue({
router
}).$mount('#app');
</script>
</body>
</html>
아래는 실행 결과입니다.
뷰 기본 라우팅 방식을 이용하여 페이지를 전환하는 예제입니다.
<router-link>는 화면 상에서 <a> 버튼 태그로 변환되어 표시됩니다. to="" 정의된 텍스트 값이 브라우저 URL 끝에 추가됩니다.
<router-view>는 갱신된 URL에 해당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영역입니다. 이곳에 나타낼 화면은 <script>에서 정의합니다.
Foo, Bar 컴포넌트에는 template 속성으로 각 컴포넌트를 구분할 수 있는 정도의 HTML 코드를 정의합니다.
routes 변수에는 URL 값이 /foo 일때 Foo 컴포넌트를, /bar 일때 Bar 컴포넌트를 표시하도록 정의합니다.
router 변수에는 뷰 라우터를 생성하고, routes 를 삽입해 URL에 따라 화면이 전환될 수 있게 정의합니다.
새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라우터의 정보가 담긴 router를 추가합니다.
$mount() API란? el 속성과 동일하게 인스턴스를 화면에 붙이는 역할을 합니다.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el 속성을 넣지 않아도 $mount()를 이용하면 강제로 인스턴스르 화면에 붙일 수 있습니다.
기본 코드에서는 컴포넌트 1개만 표시되기 때문에 간단합니다. 하지만 실제 구현은 화면에 여러개의 컴포넌트로 분할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 여러 개의 컴포넌트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라우터인 네스티드 라우터와 네임드 뷰 라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네스티드 라우터
네스티드 라우터는 라우터로 페이지를 이동할 때 최소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화면에 나타낼 수 있습니다. 상위 컴포넌트 1개에 하위컴포넌트 1개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됩니다. 아래와 같은 구조입니다.
네스티드 라우터를 이용하면 URL에 따라서 컴포넌트의 하위 컴포넌트가 다르게 표시됩니다.
아래는 간단한 네스티드 라우터 코드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dir="ltr">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Vue Nested Router Sample</title>
</head>
<body>
<script src="https://unpkg.com/vue/dist/vue.js"></script>
<script src="https://unpkg.com/vue-router/dist/vue-router.js"></script>
<div id="app">
<p>
<router-link to="/user/foo">/user/foo</router-link>
<router-link to="/user/foo/profile">/user/foo/profile</router-link>
<router-link to="/user/foo/posts">/user/foo/posts</router-link>
</p>
<!-- 1 : User 컴포넌트가 뿌려질 영역 -->
<router-view></router-view>
</div>
<script>
// 2 : 컴포넌트의 내용 정의
var User = {
template: `
<div class="user">
<h2>User {{ $route.params.id }}</h2>
<router-view></router-view>
</div>
`
};
const UserHome = { template: '<div>Home</div>' };
const UserProfile = { template: '<div>Profile</div>' };
const UserPosts = { template: '<div>Posts</div>' };
// 3 : 네스티드 라우팅 정의
var routes = [
{ path: '/user/:id', component: User,
children: [
// UserHome will be rendered inside User's <router-view>
// when /user/:id is matched
{ path: '', component: UserHome },
// UserProfile will be rendered inside User's <router-view>
// when /user/:id/profile is matched
{ path: 'profile', component: UserProfile },
// UserPosts will be rendered inside User's <router-view>
// when /user/:id/posts is matched
{ path: 'posts', component: UserPosts }
]
}
];
// 4 : 뷰 라우터 정의
var router = new VueRouter({
routes
});
// 5 : 뷰 인스턴스에 라우터 추가
var app = new Vue({ router }).$mount('#app')
</script>
</body>
</html>
아래는 실행 결과 입니다.
User 컴포넌트를 상위 컴포넌트로 놓고 URL에 따라 각각의 컴포넌트를 표시하는 코드입니다. 네스티드 라우터와 기본 라우터의 차이점은 최상위 컴포넌드에도 <router-view>가 있고, 최상위 컴포넌트의 하위 컴포넌트(User)에도 <router-view>가 있다는 것 입니다. 네스티드 라우터는 화면을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수가 적을 때는 유용하지만 많은 컴포넌트를 표시하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네임드 뷰입니다.
네임드 뷰
네임드 뷰는 특정 페이지로 이동했을 때 여러 개의 컴포넌트를 동시에 표시하는 라우팅 방식입니다. 네스티드 라우터 방식은 상위 컴포넌트가 하위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형식이지만, 네임드 뷰는 같은 레벨에서 여러 개의 컴포넌트를 한 번에 표시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dir="ltr">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Vue Named View Sample</title>
</head>
<body>
<script src="https://unpkg.com/vue/dist/vue.js"></script>
<script src="https://unpkg.com/vue-router/dist/vue-router.js"></script>
<!-- 1 : 라우팅 영역 정의 -->
<div id="app">
<router-view name="header"></router-view>
<router-view></router-view>
<router-view name="footer"></router-view>
</div>
<script>
// 2 : 컴포넌트의 내용 정의
var Body = { template: '<div>This is Body</div>'};
var Header = { template: '<div>This is Header</div>'};
var Footer = { template: '<div>This is Footer</div>'};
// 3 : 네스티드 라우팅 정의
var routes = [
{ path: '/', components: {
default : Body,
header : Header,
footer : Footer
}
}
];
// 4 : 뷰 라우터 정의
var router = new VueRouter({
routes
});
// 5 : 뷰 인스턴스에 라우터 추가
var app = new Vue({ router }).$mount('#app')
</script>
</body>
</html>
아래는 실행 결과 입니다.
위 코드를 실행하면 URL 값 '/'에 의해 네임드 뷰가 바로 실행됩니다. 코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router-view>에 name 속성을 추가하는데 name 속성은 아래 components 속성에 정의하는 컴포넌트와 매칭하기 위한 속성입니다. name 속성이 없는 것은 default로 표시될 컴포넌트를 의미합니다.
Body, Header, Footer 컴포넌트의 내용에 담길 객체를 선언합니다.
라우팅정보를 정의합니다.
뷰 라우터를 정의합니다.
뷰 인스턴스에 라우터를 추가합니다.
네임드 뷰를 활용하면 특정 페이지로 이동했을 때 해당 URL에 맞추어 여러 개의 컴포넌트를 한 번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저도 오랫만에 새로운 버전으로 설치를 진행하였는데, 전보다 더 간편해지고 크게 어려운 부분은 없습니다. 일단 사용을 하면서 필요한 것들은 설치를 하고, 혹시 다시 재install을 진행한다면 이곳에 변경되는 부분을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Stream 버전이라고해서 크게 달라진 부분이 많은 것 같지 않아, 개인 서버로 사용할 사용자에게는 CentOS7 혹은 8보다는 최신 버전이 나을것 같다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내부 함수가 정의될 때 외부 함수의 환경을 기억하고 있는 내부 함수를 말합니다. 외부 함수 안에서 선언된 내부 함수는 그 외부 함수의 지역 변수가 함수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로저는 Javascript 고유개념은 아닙니다. 함수를 일급 객체로 취급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특징중에 하나입니다. 그래서 ECMAScript 명세에 클로저의 정의는 없다고 합니다. MDN에서는 아래와 같이 정의를 하고 있습니다.
“A closure is the combination of a function and the lexical environment within which that function was declared.” 클로저는 함수와 그 함수가 선언됐을 때의 렉시컬 환경(Lexical environment)과의 조합이다.
역시나 말이 어렵습니다. 간단하게 다시 설명을 하면,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일종의 객체입니다. 그래서 다른 객체와 같이 임의의 키를 추가가 가능합니다. 클로저는 함수를 구성하는 코드와 함수가 생성될 당시의 스코프 환경(공식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렉시컬 환경)으로 구성됩니다. 클로저는 스코프 환경을 알고 있기 때문에, 함수가 생성될 당시의 모든 변수를 기억해 두었다가 함수가 호출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이유
클로저는 자바스크립트의 강력한 기능으로 비록 메모리 차원에서 손해를 볼 수 있긴하지만, 적극적으로 사용해야합니다. 아래의 이유로 사용을 할 수있습니다.
상태유지: 현재 상태를 기억하고 변경된 최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역 변수의 사용 억제: 상태 변경이나 가변 데이터를 피하고 오류를 피하는 안정성을 증가 시킬수 있다.
Hoist 라는 사전적 정의는 "(흔히 밧줄이나 장비를 이용하여) 들어 올리다, 끌어 올리다" 입니다. Javascript에서 호이스팅은 함수 안에 있는 선언들을 모두 끌어올려서 해당 함수 유효 범위의 최상단에 선언하는 것을 말합니다. 클러저(Closuer)같은 문법들의 효용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고전 Javascript가 가졌던 특징입니다. var 이나 let, const 로 정의된 변수나 함수선언문, 함수표현식이 유효범위의 최상단으로 끌어올려지는 것처럼 보여지는 현상인데, 실행 컨텍스트가 활성화 되었을때 해당 영역에서 변수의 이름을 메모리에 먼저 수집하는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이야기하니 너무 어렵네요. 간단하게 '유효범위 코드가 실행되기 전 메모리에 먼저 저장했던 선언문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간단한 예제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Javascript가 어떤 코드 구분을 실행하기 전에 함수 선언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식의 장점 중 하나는 코드에 선언하기 전에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간단한 예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아래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코드입니다.
function printName(name){
console.log("My name is " + name);
}
printName("typiler");
이제, 함수를 작성하기 전에 함수를 호출하면 어떤 일이 있는지 살펴봅시다.
printName("typiler2222");
function printName(name){
console.log("My name is " + name);
}
비록 함수를 작성하기 전에 함수를 호출하였지만, 코드는 여전히 동작합니다. 이는 Javascript에서 컨텍스트 실행이 작동하는 방식 때문입니다.
호이스팅은 다른 데이터 타입 및 변수와도 잘 작동합니다. 변수는 선언하기 전에 초기화하여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초기화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cnt = 6;
cnt += 5;
var cnt;
console.log(cnt);
cnt가 선언되지 않더라도 에러를 내지 않습니다. Javacript는 초기화가 아닌 선언만 끌어올립니다(Hoist). 만약 변수를 선언한 뒤 나중에 초기화시켜 사용한다면 그 값은 undefined로 지정됩니다. 아래 두 예제는 같은 동작을 보여줍니다.
var i = 0;
console.log(i + " " + j);
var j = 0;
var x = 7;
var y;
console.log(x + " " + y);
y = 3;
이와 같은 호이스팅 때문에 의도한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으니 개발 시 이부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더 많은 정보는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여 주십시오. 여기까지 간단한 호이스팅에 대한 설명이였습니다.
브라우저는 컴퓨터 혹은 모바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일 것 입니다. 그렇다면 브라우저는 정보를 어떠한 과정을 걸쳐 화면에 표시하는것 일까요?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브라우저의 주요 기능은 사용자가 선택한 자원을 서버에 요청하고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것입니다. 자원은 보통 HTML 문서입니다. 브라우저는 HTML과 CSS 명세에 따라 HTML 파일을 해석해서 표시하는데 이 명세는 웹 표준화 기구인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정합니다. 브라우저의 구성요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브라우저 엔진, 렌더링 엔진, 통신, UI 백엔드, 자바스크립트 해석기, 자료 저장소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저는 화면을 표시하는 부분인 렌더링 엔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렌더링 엔진
렌더링 엔진의 역할은 요청 받은 내용을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하는 일을 합니다. HTML 및 XML 문서와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렌더링 엔진은 브라우저마다 다릅니다.
렌더링 엔진은 통신으로부터 요청한 문서의 내용을 얻은 것으로 시작합니다. 아래는 기본 동작 과정을 요약한 그림입니다.
렌더링 엔진은 HTML 문서를 파싱하고 "콘텐츠 트리" 내부에서 태그를 DOM 노드로 변환합니다. 그 다음 외부 CSS 파일과 함께 포함된 스타일 요소도 파싱합니다. 스타일 정보와 HTML 표시 규칙은 "렌더 트리"라고 부르는 또 다른 트리를 생성합니다. 렌더 트리는 색상 또는 면적과 같은 시각적 속성이 있는 사각형을 포함하고 있는데 정해진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됩니다.
렌더 트리가 끝나면 배치가 시작되는데 이것은 각 노드가 화면의 정확한 위치에 표시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음은 UI 백엔드에서 렌더 트리의 각 노드를 가로지르며 형상을 만들어 내는 그리기 과정을 합니다. 일련의 과정들이 점진적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동작 과정 상세 (예: 웹킷)
HTML을 파싱하여 DOM 노드를 만듭니다. 이 DOM 노드들을 병합하여 DOM 트리를 만듭니다.
CSS를 파싱하여, 스타일 규칙을 만듭니다.
DOM 트리와 스타일 규칙을 사용하여, 어테치먼트 라는 처리를 하여 렌더 트리를 생성합니다.
렌더 트리를 배치합니다.
렌더 트리를 화면에 그립니다.
각 단계별로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참고사이트를 이용하면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래 5단계입니다.
VMware로 만들어진 CentOS 이미지를 기동하니 아래와 같은 에러 나타납니다. 오류 메시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This host supports Intel VT-x, but Intel VT-x is disabled. (해석) 이 호스트는 Intel VT-x를 지원하지만 Intel VT-x는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원인은 간단합니다. Intel VT-x 를 지원하는데 이 기능이 비활성화 되었있다는 내용입니다. 그렇다면 Intel VT-x 기능을 어떻게 활성화를 해야할까요? 방법은 간단합니다. 컴퓨터를 재기동하고 부팅화면에서 DEL 키 혹은 F2를 눌러 BIOS 로 진입니다. (PC마다 키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CPU 설정관련 메뉴를 보면 Intel Virtualiztion Technology 가 Disabled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을 Enabled 로 변경하고 변경을 저장하여 재부팅하면 됩니다. 제 PC의 경우 아래와 같이 변경을 하였습니다.
단, CPU설정에 가도 Intel Virtualiztion Technology 가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BIOS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서 나오는 경우가 있고, CPU가 Intel Virtualiztion Technology 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입니다.
많은 고민 끝에 VMware에 설치할 OS 를 선정하였습니다. CentOS Stream 8 입니다. 우분투를 한번도 사용하지 않아서 설치를 해볼까 했는데, 아무래도 서버를 공부하기에는 우분투보다는 CentOS가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CentOS는 아래와 같이 설명을 할 수 있습니다.
센트OS(영어: CentOS)는 센트OS 프로젝트에서 레드햇 제휴로 개발한 컴퓨터 운영 체제이다. 업스트림 소스인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와 완벽하게 호환되는 무료 기업용 컴퓨팅 플랫폼을 제공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리눅스계 운영 체제 가운데 하나다. 6.4 버전부터 베타 버전은 파워PC에서 사용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공식적으로 물리 주소 확장 기능을 가진 x86과 x86-64 아키텍처를 지원한다.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의 소스 코드를 그대로 가져와 빌드해 내놓으며 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변형은 레드햇의 상표가 잘리고 그 자리에 CentOS의 상표가 붙는(상표권 분쟁을 피하기 위해) 정도뿐이다. 판수 또한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의 판수를 그대로 가져오며(소수점 아래 숫자는 업데이트 차수를 가리킨다) 오늘날에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의 행보를 가장 잘 따라가는 운영 체제라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오랫만에 CentOS 설치를 하러 자료를 찾았는데, CentOS가 종료된다 라는 이야기가 있어서 자세히 찾아보았습니다. 내용을 요약을 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CentOS 8은 2021년 12월 31일에 지원 중단
CentOS는 향후 CentOS Stream 으로 전환
CentOS Stream는 RHEL 업스트림 (개발) 배포판
CentOS 8 사용자는 앞으로 CentOS Stream로 전환하거나 운영 환경에서 사용한다면 RHEL로 전환
CentOS 7의 지원 기간은 종전과 동일한 2024년06월 30일
또한, 이전에 레드햇 계열 리눅스 리스주기는 Fedora –> RHEL –> CentOS 였는데, 앞으로의 릴리스는 CentOS Stream 이 Fedora와 RHEL 사이에서 마이너 릴리스를 테스트하는 업스트림 배포판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즉, Fedora → CentOS Stream → RedHat Enterprise 로 변경되는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