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얼마전에 설치한 JBoss의 가상 호스트 설정를 설정할 일이 생겼다. 
 
상황은 이렇다. 현재 설치된 JBoss를 이용하여 두개의 호스트네임을 두어 하나는 실제 운영을 하기 위한것이고 하나는 TEST 용으로 사용될 것이다. 바꾸어 말하자면 테스트 서버를 하나 두고 싶다는 말이다. ㅡ.ㅡ;;
 
그럼 일단 가상호스트에 대한 개념을 이해해보자.
  • 웹 서버는 서로 다른 두개의 가상 호스트를 처리한다.
  • 웹 서버는 서로 다른 두개의 가상 호스트에 대한 static content를 처리한다.
  • mod-jk는 가상 호스트에 대해서 JBoss로 HTTP Request를 요청한다.
  • JBoss에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배포되며 이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가상 호스트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 배포할 웹 애플리케이션의 jboss-web.xml 파일에는 가상 호스트 정보가 포함된다.
  • 배포할 웹 애플리케이션의 jboss-web.xml 파일에는 context root가 모두 /로 정의한다.
특히 여기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이 중요하다. 가상 호스트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모두 /로 요청을 받아야 합니다. 만약, 가상호스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두 애클리케이션의 context root가 /인 경우 context root가 동일하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jboss-web.xml 파일에 가상 호스트를 지정하면 충돌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중요한 포인트 입니다.
 
설정하는 방법은 Tomcat과 좀 다릅니다. 
 
%APACHE_HOME/conf/httpd.conf 파일에 가상 호스트별로 제공할 static content 경로를 지정해줘야 합니다. 이것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 403에러가 발생합니다.
# Include mod_jk configuration file
Include conf/mod-jk.conf

<Directory "/usr/local/jboss/server/default/deploy/TTT_TEST.war">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None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Directory "/usr/local/jboss/server/default/deploy/TTT.war">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None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Directory "/usr/local/apache2/htdocs">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None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위 부분을 파일에 추가했습니다.
소스의 위치는 JBoss가 설치된어 현재 기동한 configuration 의 레벨 및에 있는 폴더입니다.
전 아래와같이 설치했습니다.
/usr/local/jboss/server/default/deploy/TTT.war          
                      =(사용할 호스트명)=> v1.taebal-test.co.kr
/usr/local/jboss/server/default/deploy/TTT_TEST.war  
                      =(사용할 호스트명)=> v2.taebal-test.co.ko
다음은 %APACHE_HOME/conf/httpd.conf 파일에 가상 호스트를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실제로 httpd.conf 파일에 직접 써도 되지만, 여기서는 mod_jk.conf 파일에 JBoss 연동 부분을 세팅해 놨기 때문에 mod_jk.conf 파일에 설정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APACHE_HOME/conf/mod_jk.conf 
<VirtualHost *>
    ServerAdmin XXXXX@gmail.com
    DocumentRoot /usr/local/jboss/server/default/deploy/TTT.war
    ServerName v1.XXXXX-test.co.ko
    ErrorLog logs/v1.XXXXX-test.co.ko-error.log
    CustomLog logs/v1.XXXXX-test.co.ko-access.log common

    LogLevel debug
    JkMountFile                 conf/uriworkermap_v1.properties
    <Directory "/usr/local/jboss/server/default/deploy/TTT.war/WEB-INF/">
        AllowOverride None
        deny from all
    </Directory>
        RewriteEngine On
        RewriteCond %{HTTPS} !=on
        RewriteRule .* https://%{SERVER_NAME}%{REQUEST_URI} [R,L]
</VirtualHost>

<VirtualHost *>
    ServerAdmin XXXXX@gmail.com
    DocumentRoot /usr/local/jboss/server/default/deploy/TTT_TEST.war
    ServerName v2.XXXXX-test.co.ko
    ErrorLog logs/v2.XXXXX-test.co.ko-error.log
    CustomLog logs/v2.XXXXX-test.co.ko-access.log common

    LogLevel debug
    JkMountFile                 conf/uriworkermap_v2.properties
    <Directory "/usr/local/jboss/server/default/deploy/TTT_TEST.war/WEB-INF/">
        AllowOverride None
        deny from all
    </Directory>
        RewriteEngine On
        RewriteCond %{HTTPS} !=on
        RewriteRule .* https://%{SERVER_NAME}%{REQUEST_URI} [R,L]
</VirtualHost>
파일 및에 위를 추가 했습니다. 어떤 내용인지는 설명을 드리면..
ServerAdmin : 관리자 메일
DocumentRoot : 실제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위치
ServerName : 호스트 이름
ErrorLog : 에러 로그 생성 위치
CustomLog : 엑세스 로그 생성 위치
LogLevel : 로그 생성 레벨
JkMountFile : mod-jk의 설정파일
Directory : WEB-INF의 접근을 막음 (옵션)
Rewrite : http 로 들어오는 것을 https로 바꿔주는 역활 (옵션)
대충 위와 같은 내용입니다. 옵션이라고 적힌 부분은 필요하지 않으면 써주지 않아도 됩니다.
 
다음으로 %JBoss/server/$Configuration$/deploy/jbossweb.sar/server.xml 파일을 열어서 JBoss도 설정해줍니다. (난 $Configuration$ 의 부분이 default 이다.)
파일을 열고 아래 부분 Engine 테그 사이에 추가한다. <Host name="localhost"> 태그 위에 추가...
 <Host name="v1.XXXXX-test.co.ko">
     <Alias>v1.XXXXX-test.co.ko</Alias>
     <Valve className="org.jboss.web.tomcat.service.jca.CachedConnectionValve"
cachedConnectionManagerObjectName="jboss.jca:service=CachedConne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ObjectName="jboss:service=TransactionManager" ></Valve>
 </Host>

<Host name="v2.XXXXX-test.co.ko">
    <Alias>v2.XXXXX-test.co.ko</Alias>
    <Valve className="org.jboss.web.tomcat.service.jca.CachedConnectionValve"
cachedConnectionManagerObjectName="jboss.jca:service=CachedConne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ObjectName="jboss:service=TransactionManager" ></Valve>
</Host>
 
이렇게 하면 서버에서 설정하는 것은 모두 끝났다. 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실제로 잘되는지 보기 위해서는 테스트 하려는 컴퓨터의 hosts 파일을 수정해야한다. 왜냐면 지정한 가상 호스트이름은 내가 임의로 지정한 이름이기 때문에 DNS서버에 등록이 되어있지 않아 IP를 찾지 못하기 때문이다. 
 
서버에서 테스트를 한다고하면...
/etc/hosts 파일을 열어 다음을 추가해준다.
192.OOO.OOO.OOO  v1.XXXXX-test.co.ko
192.OOO.OOO.OOO  v2.XXXXX-test.co.ko
 
여기서 192.OOO.OOO.OOO 은 서버 IP이다.
 
이제 마지막으로 남은 jboss-web.xml 파일의 설정을 보자.
애플리케이션에 WEB-INF/jboss-web.xml 파일을 만들고 아래처럼 설정하였다.
 
v1.XXXXX-test.co.ko
<?xml version="1.0" encoding="UTF-8"?>
<!DOCTYPE jboss-web PUBLIC 
        "-//JBoss//DTD Web Application 5.0//EN" 
        "http://www.jboss.org/j2ee/dtd/jboss-web_5_0.dtd"> 

<jboss-web>
	<context-root>/TTT</context-root>
	<virtual-host>v1.XXXXX-test.co.ko</virtual-host>
</jboss-web>
v2.XXXXX-test.co.ko
<?xml version="1.0" encoding="UTF-8"?>
<!DOCTYPE jboss-web PUBLIC 
        "-//JBoss//DTD Web Application 5.0//EN" 
        "http://www.jboss.org/j2ee/dtd/jboss-web_5_0.dtd"> 

<jboss-web>
	<context-root>/TTT</context-root>
	<virtual-host>v2.XXXXX-test.co.ko</virtual-host>
</jboss-web>
여기서 context root는 실제 프로젝트에서 /TTT이라고 사용을 하기 때문에 /TTT이라고 적어줬으며, 이부분이 필요없이 /로 하고싶다면 /로 적어주면 된다.
이렇게 하면 가상 호스트의 설정은 모두 끝~!!
 
부가적으로 https 를 사용한다면...%APACHE_HOME/extra/httpd-ssl.conf 을 수정해줘야한다.
mod-jk 연결해주는 파일을 가상호스트 설정시 썼던 파일로 바꿔줘야 한다. 아래 참조...
# 가상호스트 사용전 mod-jk 설정 파일
# JkMountFile conf/uriworkermap.properties 

# 가상호스트 사용 mod-jk 설정 파일 (mod_jk.conf 가상호스트 설정 부분의 파일을 적어줌)
JkMountFile conf/uriworkermap_v1.properties
JkMountFile conf/uriworkermap_v2.properties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챠트를 만들다보니 데이터가 큰 챠트는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스크롤이 없어서 챠트가 화면에 표시될때, 눈에 보이지 않을정도로 작아진다는 것이다. openzet의 컨포넌트중 ChartZoomer를 이용하면 되겠지만, 이것또한 줌을 조작해야하는 공간이 필요하다. 그냥 단순히 스크롤을 만들고 싶다. 구글링을 하던중 몇가지 발견을 하여 여기에 포스팅을 한다.

지난 포스트에 이어서 두번째 방법으로 http://www.iwobanas.com  블로그에 소개된 방법을 사용해 보았다.
이 포스트 역시 내가 개발한 것이 아니라, 소스는 해당 블로그에서 받고,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것 같다.


지난번 포스트에서 소개한 스크롤 챠트와는 모양이 좀 다르다. 


일단 데이터가 적거나 많거나 사용이 가능하며, 스크롤이 전혀 나오지 않다. 하지만 챠트를 마우스를 이용하여 드레그 해보자. 그럼 챠트가 이동하는 것을 볼수 있을것이다. 또한 마우스의 휠을 이용하면 크기가 확대/축소가 가능하다.

아래 챠트도 한번 보자.

위 차트는 아까것과 달리 X축에만 이벤트가 걸려있다. 마우스를 X축에 올리면 마우스 커서가 손모양으로 바뀌며, 드레그와 휠 이벤트 준비가 된다.

위 사이트에 들어가서 잘 읽어보면 알겠지만, 아직 미완성인것 같다. 문제점이 좀 있다는 이야기..
가장 큰 문제는 ... 실제로 데이터가 없는 부분까지도 마우스 드레그와 휠 동작이 된다. 만약 사용하고자 한다면, 이분을 손보고 사용을 해야할것 같다.

[FLEX CHART] 스크롤 챠트 - 1 [FLEX CHART] 스크롤 챠트 - 2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챠트를 만들다보니 데이터가 큰 챠트는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스크롤이 없어서 챠트가 화면에 표시될때, 눈에 보이지 않을정도로 작아진다는 것이다. openzet의 컨포넌트중 ChartZoomer를 이용하면 되겠지만, 이것또한 줌을 조작해야하는 공간이 필요하다. 그냥 단순히 스크롤을 만들고 싶다. 구글링을 하던중 몇가지 발견을 하여 여기에 포스팅을 한다.

일단 첫번째 방법으로 http://www.connectedpixel.com 에 소개된 방법을 이용해 보았다.
아래는 아무것도 쓰지 않은 그냥 일반 챠트다.
수많은 데이터가 존재하여 한눈에 차트를 볼수는 있지만, 정확히 무슨 내용인지 알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그럼 여기에 스크롤바를 달아보자. 
스크롤이 달리니 한결 보기 편해졌다. 하지만 뭔가 이상하지 않나?? 그렇다... 바로 Y축이 스크롤을 할때 사라진다는 점이다. Y축이 사라지기 때문에 스크롤을 하여 가장 마지막 데이터를 볼때, 어떤 내용인지 잊어버릴수 있다. 

그럼...이것을 다른 방식의 스크롤을 사용해 보자.
Y축이 사라지지 않게 스크롤을 X축에 넣어서 만들었다. 훨씬 보기 편하며, 간결해진 모습이다. 하지만, 문제가 없을까?? 데이터를 한눈에 보고싶을땐?? 축소가 안되는것일까?? 음..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그러나 걱정 말자. 친절하게 아래와 같은 챠트도 있으니...
위 챠트는 줌을 이용하여 크기까지 변경이 가능하게 되어있으며, 스킨까지 적용하게 되어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X축이 아닌, Y축에 스크롤을 넣는 방법도 있다.

이렇게 챠트에 스크롤을 넣어서 만드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소스는 위 사이트에서 직접 다운로드를 할수 있으며, 내가 만든 소스가 아니기 때문에 여기에 소스를 올리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위 챠트도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1> 현재 예제를 만들기 위해서 그랬을지는 모르겠지만, XML을 사용하고 있다. 이것을 ArrayCollection 으로 바꾸면 동작을 하지 않는다.
2> 내가 새로만든 커스텀한 챠트에 적용이 안된다. 

위 문제가 상관이 없다고 생각한다면, 누구나 쉽게 적용할수 있을것이다. 

[FLEX CHART] 스크롤 챠트 - 1 [FLEX CHART] 스크롤 챠트 - 2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얼마전에 설치한 오라클9i를 최신버전으로 바꾸려고 생각했었는데, 시간이 있어서 한번 만들어 보았다. 9i보다는 설치가 간편하며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다. 

천천히 따라하면 충분히 설치가 가능할거라 생각되며, 이 포스트는 오라클11g의 가장 기본적인 설치 방법이다. 따라서 test 서버용이지 실제 서버를 운영한다고 하면...좀 복잡한 설치 방법을 거쳐야 한다고 한다.

아래는 설치한 리눅스의 환경이다. (VMWare로 만들어진것이다.)
OS : CentOS5.3
CPU : 2
RAM : 512MB
HDD : 15GB

일단 설치된 프로그램을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 확인하자.

오라클 설치전에 최신프로그램으로 업데이트를 해서 그런지 별로 설치되는 프로그램이 많지 않았다.

설치가 완료되면 오라클유저를 생성한다.

커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왜 확인하는지 모르겠지만...;;;;)

/etc/sysctl.conf 파일의 마지막 부분에 아래를 추가시킨다.

수정한 부분을 적용

/etc/security/limits.conf 파일을 열어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수를 제한한다.
아래를 참고로 수정

/etc/pam.d/login 의 마지막 부분에 /lib/security/pam_limits.so 에 관련된 아래 부분을 추가한다.

oracle 계정의 .bash_profile 수정

오라클 계정으로 이동하여 다운받은 오라클의 압축을 푼다.

작업이 완료되면 oracle 계정으로 Xwindows를 실행하여 아래 명령어 실행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여기서 아래 화면과 같이 Advanced Installation 을 선택 후 NEXT!

Inventory Directory가 /home/oracle/oracle11/oralInventory로 변경하고 Next

만약 /home/oracle/oracle11 폴더의 소유자가 root 로 되어있다면 에러가 나올것이다. 그럼 아래와 같이 root로 접속해서 디렉토리의 권한을 바꿔준다.

다음화면에서 설치할 언어팩을 선택해야한다.

난 일본어를 추가했다. 

Install Loaction 부분이다. 이부분은 처음에 .bash_profile에 설정한 정보가 나올것이다.

check mode- 시스템이 사양이 올바른가에 대한 체크를 한다. 경고가 나오지만 그냥 무시하고 넘어간다.

Create Database 항목 체크후 NEXT

NEXT

데이타베이스 이름과 SID값을 입력한다. 
데이터베이스 이름 : ORACLE11
SID : ORCL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적인 설정인데, 일단 메모리는 기본적으로 256MB 그냥 그대로 사용했고...

언어셋은 아래와같이 UTF-8로 설정했다. 그리고 나머지는 디폴트 값으로...

NEXT

file System  - /home/oracle/oracle11/oradata

백업과 복구옵션...그냥 NEXT

관리 계정의 암호 설정인데, 모든암호를 하나씩 설정하기 짜증나서 한개의 암호로 만들어버렸다.

NEXT

NEXT

NEXT

설치 시작~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그냥 OK!!

여기서도 OK!!!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난다.
그러면 터미널을 열어 root 권한으로 로그인한 후 나와있는 두개의 경로로 들어가 sh를 실행한다.
실행후 창으로 돌아와 OK!!

설치 완료!!

이제 오라클을 구동해 보자. 명령어는 lsnrctl start 이다.

실행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온다면....
[oracle@localhost bin]$ ./lsnrctl start
./lsnrctl: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 /home/oracle/oracle11/product/11.1.0/db_1/lib/libnnz11.so: cannot restore segment prot after reloc: Permission denied 

root 권한으로 로그인해 /etc/selinux/config을 열고 아래 부분을 수정한다. 수정후 재부팅 필수~
SELINUX=enforcing --> SELINUX=disabled


구동이 되는것을 확인했다면 이제 부팅시 자동으로 오라클이 동작하도록 설정해보자.
일단 /etc/init.d/oracle start | stop | restart 명령을 쓸수 있겠끔 스크립트 만들어준다.

시스템 부팅과 함께 다시 오라클이 구동될수 있도록 /etc/rc.local에 위에서 작성한 스크립트 파일을 삽입한다.

재구동시 확인



생각보다 그리 어렵지 않게 설치를 했다. 근데 역시 시간은 좀 걸린다.;;;
위 글은 http://bestakas.tistory.com/94 를 참고로 작성하였다. 

그럼~!!! 유용한 정보가 되었길...댓글은 포스팅의 힘~ 광고클릭은 블러거의 힘의 원천...^^;;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얼마전에 새로산 컴퓨터에 CVS 서버를 설치하려고했다. 근데 이놈의 운영체제가 Vista .... ;;;

설치하려는 CVS 버전은 2.5.03 Build 2382 인데...요즘 새로나오는 CVSNT는 컴퓨터가 이상해서 그런지 몰라도 반응도 느리고 별로 좋지 않은 느낌이다.

그래서 좀 옛날 버전이지만 2.5.03 Build 2382 을 설치하려 한다.

일단 Vista 설치도 XP 설치처럼 비슷하게 하면 된다. 단, 설치 완료후 CVSNT Control panel 을 실행하면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 ;;;;
네이버나 다음에서 검색을 해봤지만, 답을 알수가 없었다.;;; 그래서 구글링으로...;;;

해결 방법은 아래와 같이 진행한다.

- CVSNT가 설치된 디렉토리로 이동
- 텍스트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vsnt.cpl 을 연다.  (c:\program files 디렉토리의 수정권한을 가진
Administrator 로 로그인해야함)
- 파일의 끝쪽부분을 찾는다. (검색어 : aslnvoked)
-
level=”asInvoked”level=”asInvoker” 로 수정한다.
- 저장
- control panel을 실행


여기서 주의해야 할점은 Administrator 권한을 가진 유저가 작업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텍스트프로그램은 울트라 에디터를 권장하며, 파일을 열면 16진수의 알아보기 힘든 글자들을 볼수있다. 하지만 옆에 잘 보면 위의 검색어를 이용해 찾아 수정할수 있다.

그리고 설치후 재부팅은 필수!!!! (XP에서는 재부팅 메세지가 나왔는데, Vista는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재부팅을 꼭 해줘야함)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어제 설치한 JBoss를 아파치와 연동을 하는 부분을 시도해보겠다. 일단 준비물은 아래와 같다.

1. httpd-2.2.11
     (apache 2.2.11 openssl을 이용하여 https 서비스가 가능게 설치된것)
     ---> 설치방법 바로가기
2. JBoss 5.1.0 GA 
     (5.x 버전이면 크게 상관이 없을듯하다. 4.x 버젼과 조금은 차이가 있지만....)
     ---> JBoss 설치 바로가기
3. mod_jk 1.2.28
     (apache 2.2.11 설치방법의 글을 참조해서 설치...)


아파치 설치방법에 나온것은 Tomcat 과 연동이 되도록 적혀있다. 연동설정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모두 동일하다. 즉, 톰켓을 연동하던 JBoss를 연동하던...설정부분만 바꿔주면 된다는 뜻...!!!!

1. %APACHE_HOME/conf/httpd.conf 수정

2. %APACHE_HOME/conf/mod-jk.conf 생성

3. %APACHE_HOME/conf/workers.properties 생성

4. %APACHE_HOME/conf/uriworkermap.properties 생성

5. %JBOSS_HOME/server/default/deploy/jbossweb.sar/server.xml 수정

6. %APACHE_HOME/conf/extra/httpd-ssl.conf 수정 
(https 통신을 위한 설정 - https가 필요없다면 하지 않아도 된다.)

7. apache 구동

8. JBoss 구동

※ 주의
 JBoss만 구동하여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서는 구동시 -b 옵션으로 서버IP를 설정해야 하지만, 아파치와 연동시 -b 옵션을 주게되면 아파치와 연동이 안된다.
 %APACHE_HOME/conf/workers.properties 파일에서 설정한 host 부분때문인것 같은데, host 부분이 localhost로 되어있기때문에 127.0.0.1의 호출로 JBoss를 연결하지 못하기 때문인듯하다. 외부에서 직접 JBoss의 접속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그냥 설정한데로 사용하면 될듯!!!

9. https://[서버]/jmx-console/ 테스트



10. https://[서버]/web-console/ 테스트


위 테스트는 https 를이용하여 접속한것이기 때문에 주소창이 빨강색으로 표시된다. https 를 사용하지 않고 하는 방법은 위에 https 설정만 빼고 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JBoss ... 일단 난 처음 들었다. 그래서 자료를 이리 저리 찾아봤는데.. tomcat과 상당히 유사한 웹서버이네..하지만 틀린것은 EJB를 무난하게 돌아가게 할수있다는거...그리고 오픈소스이지만, tomcat보다 관리적인 측면에서 좋다는거, 또 따지고 들어가면...메인터넌스가 있다는거...즉, 오픈소스라서 맘대로 가져다 사용해도 되지만, 관리를 받을려면 돈을 내고 관리받을수 있다. 유지보스 측면인가..?? 그리고 중요한건 Tomcat을 WAS라고 말하기 좀 뭐한 감이 있는데, 이건 WAS라고 말할수 있을듯...

아무튼 JBoss 북미지역에서는 점유율이 상당하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제우스, 웹투비를 많이 사용하지만...요즘 점점 들어가는 추세라고 하며, 일본도 꽤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레드헷에서 인수를 해서 지금 현재 레드헷리눅스 계열에서 굉장히 좋은 호환성을 보여주고 있는듯 하다.

그럼 일단 설치를 해보자. 설치는 굉장히 간단하다. 

1. JBoss 사이트에서 다운로드를 받는다. (http://www.jboss.org/)
    - 참고로 다운로드 받는 부분이 보이지 않는다...;;;; 
       열심히 이리저리 클릭해본 결과...아래 사이트로 들어가면 된다.
    
    - 난 여기서 5.1.0.GA 를 다운받았다. ( Description  이 Stable  인것이 정식 버젼인듯...)

2.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자. 

3. 그리고 적당한 위치로 가져다 둔다음... JAVA_HOME 경로를 지정해주자.
- 윈도우의 경우 환경변수로 지정해두기를 권장함
- 리눅스의 경우 .bash_profile 에 설정한다. (아래 .bash_profile 파일 참조)
   --> JAVA_HOME 뿐만 아니라 JBOSS_HOME 도 설정해두자.

- 리눅스의 경우 jboss 라고 소프트 링크를 걸어 두는것이 좋다.
[root@Cent5JBossServer local]# ls -l
合計 152
lrwxrwxrwx  1 root root   16  6月 12 17:53 ant -> apache-ant-1.7.1
drwxr-xr-x  6 root root 4096  6月 27  2008 apache-ant-1.7.1
drwxr-xr-x 15 root root 4096  6月 26 15:03 apache2
drwxr-xr-x 15 root root 4096  6月 12 17:54 apache2.bak
drwxr-xr-x 15 root root 4096  6月 26 10:27 apache2.bak.ssl1
drwxr-xr-x  2 root root 4096  6月 26 09:58 bin
drwxr-xr-x  2 root root 4096  3月 10 07:42 etc
drwxr-xr-x  2 root root 4096  3月 10 07:42 games
drwxr-xr-x  3 root root 4096  6月 26 09:58 include
lrwxrwxrwx  1 root root   12  6月 12 17:49 java -> jdk1.6.0_14/
lrwxrwxrwx  1 root root   14  7月 16 11:27 jboss -> jboss-5.1.0.GA
drwxr-xr-x  8 root root 4096  5月 23 17:59 jboss-5.1.0.GA

drwxr-xr-x 10 root root 4096  6月 12 17:37 jdk1.6.0_14
drwxr-xr-x  4 root root 4096  6月 26 09:58 lib
drwxr-xr-x  2 root root 4096  3月 10 07:42 libexec
drwxr-xr-x  6 root root 4096  6月 26 16:36 openssl
drwxr-xr-x  2 root root 4096  3月 10 07:42 sbin
drwxr-xr-x  4 root root 4096  3月 10 07:42 share
drwxr-xr-x  2 root root 4096  3月 10 07:42 src
[root@Cent5JBossServer local]# pwd
/usr/local


4. 실행은 JBoss가 설치된 bin 폴더 및에 run.bat(윈도우) 또는 run.sh(리눅스)를 실행 시킨다.
- 실행시 참고 사항
run.sh -c minimal <enter> -> minimal로 configuration으로 구성된 서버 실행
run.sh -c all <enter>       -> all configuration으로 구성된 서버 실행
run.sh <enter>              
-> default configuration으로 구성된 서버 실행

- IP 바인딩 : JBoss를 구동시 IP 바인딩을 할수있는데, 좀 중요한 부분이다. 예를들어 그냥 run.sh를 실행 하였다면, 외부에서 접속이 안된다. 이것은 127.0.0.1 로 IP가 바인딩되었기 때문이다. 만약 외부에서 접속을 하려면, -b [IP] 옵션을 주면 된다.
(아파치랑 연동을 한다면 -b 옵션을 줘서는 안된다.)

5. 실행이 되었다면 http://localhost:8080 으로 접속한다. 설치는 쉽게 완료~!!!!!

(아래 화면은 외부에서 접속하기위해 구동시 -b 옵션을 주고 구동한후, 외부에서 접속한 화면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지난번 포스트에서 https 설정(apache2.2.x + tomcat6.0 + mod_jk1.2.28 + openssl0.9.8k (ssl인증 설치, https))을 알아보았다. 근데 https 라고함은 사용자들이 직접 https라는 프로토콜을 입력하지는 않는다.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

정답은 바로 http 로 들어오면 https로 돌려주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http://test.com/ttt.html 을 사용자가 호출하면 아파치에서 https가 아닌 http 요청을 판단하여 https로 돌려줘 https://test.com/ttt.html 로 만들어 주는 것있다. 

처음엔 리다이렉트를 이용하여 자료를 검색하여 해봤으나 리다이렉트 방법으로는 잘 되지 않았다.
(왜 안되는지 잘 모르겠지만, 설정 방법을 다시 공부해야 할듯...)

리다렉트에 관한 자료
리라이트에 관한 자료
위 자료를 참조하면 리다이렉트와 리라이트에 대해서 알수 있을것이다.

그럼 내가 설정한 httpd.conf 파일은 아래와 같다.


httpd.conf 파일 가장 아랫부분에 추가해줬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한국에서는 잘 사용하지않는 부분이지만, 일본에서는 거의 모든 프로젝트에 들어가는 LDAP ...
처음에는 뭔지 잘 몰랐지만, 조금씩 알것 같은 느낌...

너무 많은 곳에서 LDAP 관련 인증을 이용하여 로그인을 하기 때문에 LDAP에 관련 Java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다.

그럼 LDAP은 뭘까? 아래는 위키에 설명된 것을 발취한 내용이다.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라이트웨이트 디렉터리 액세스 프로토콜)은 TCP/IP 위에서 디렉터리 서비스를 조회하고 수정하는 응용 프로토콜이다.

디렉터리는 논리, 계급 방식 속에서 조직화된, 비슷한 특성을 가진 객체들의 모임이다. 가장 일반적인 예로는 전화 번호부(telephone directory)가 있는데 가나다 순의 일련의 이름을 가지고 있고, 이름마다 전화 번호와 주소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기본 설계 때문에 LDAP는 인증을 위한 다른 서비스에 의해 자주 사용된다.

LDAP 디렉터리 트리는 선택된 모델에 따라 다양한 정치적, 지질학적, 조직적 경계를 반영하기도 한다. 오늘날 LDAP의 배치는 최상위 수준의 계급을 구조화하기 위해 도메인 이름 서비스의 이름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디렉터리 안에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사람들, 조직, 프린터, 문서, 그룹 등을 대표하는 항목들이 나타난다.

LDAP의 현재 버전은 LDAPv3이다.


쉽게 생각하면 디렉토리 서비스...디렉토리 트리를 이용하여 빠른 검색을 이용한다..뭐 이런것 같음...


java로 구현한 LDAP 디렉토리 삭제
(하위 디렉토리 추가는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야한다.)

위 소스를 실행하면 디렉토리가 삭제된다.

지금까지 LDAP에 관련된 검색, 추가, 삭제, 수정에 관한것을 java를 이용하여 구현 해보았다. 실제로 LDAP을 잘 이용하기 위해서는 좀더 공부를 할 필요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한국에서는 잘 사용하지않는 부분이지만, 일본에서는 거의 모든 프로젝트에 들어가는 LDAP ...
처음에는 뭔지 잘 몰랐지만, 조금씩 알것 같은 느낌...

너무 많은 곳에서 LDAP 관련 인증을 이용하여 로그인을 하기 때문에 LDAP에 관련 Java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다.

그럼 LDAP은 뭘까? 아래는 위키에 설명된 것을 발취한 내용이다.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라이트웨이트 디렉터리 액세스 프로토콜)은 TCP/IP 위에서 디렉터리 서비스를 조회하고 수정하는 응용 프로토콜이다.

디렉터리는 논리, 계급 방식 속에서 조직화된, 비슷한 특성을 가진 객체들의 모임이다. 가장 일반적인 예로는 전화 번호부(telephone directory)가 있는데 가나다 순의 일련의 이름을 가지고 있고, 이름마다 전화 번호와 주소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기본 설계 때문에 LDAP는 인증을 위한 다른 서비스에 의해 자주 사용된다.

LDAP 디렉터리 트리는 선택된 모델에 따라 다양한 정치적, 지질학적, 조직적 경계를 반영하기도 한다. 오늘날 LDAP의 배치는 최상위 수준의 계급을 구조화하기 위해 도메인 이름 서비스의 이름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디렉터리 안에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사람들, 조직, 프린터, 문서, 그룹 등을 대표하는 항목들이 나타난다.

LDAP의 현재 버전은 LDAPv3이다.


쉽게 생각하면 디렉토리 서비스...디렉토리 트리를 이용하여 빠른 검색을 이용한다..뭐 이런것 같음...


java로 구현한 LDAP Attribute 수정
(하위 디렉토리 추가는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야한다.)

위 소스를 실행후 검색을 해보면...아래와 같이 변경이 된것을 확인 할수가 있다.



[관련글 바로 가기]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