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덤프 뜨기(Export)
-기본
명령어프롬프트 > exp 아이디/비번@서비스명(SID)

-옵션(파일명 지정 또는 테이블 지정)
명령어프롬프트 > exp 아이디/비번@서비스명(SID)  tables=테이블명1,테이블명2... 
file=파일명.dmp

2. 덤프파일 임포트 하기
-기본
명령어프롬프트 > imp 아이디/비번 file=파일명.dmp

-옵션 테이블지정
명령어프롬프트 > imp 아이디/비번 file=파일명.dmp tables=테이블명1,테이블명2...

덤프 넣을때 - import
D:\tmp>imp 아이디/비번
(일부 테이블만)
D:\tmp>imp 아이디/비번 file=파일명
tables=테이블명

/예)

exp test/testpw OWNER=test FILE=test.dmp LOG=test.log

exp test/testpw@test FILE=test.dmp LOG=test.log

imp test/testpw FROMUSER=test TOUSER=test FILE=test.dmp LOG = test.log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브라우져의 내용을 화면 전체로 보여주기위한 내용이다.

일단 예제 화면은 아래 주소를 참조 하면 좋을것 같다.

EX>

SOURCE>

지금 현재 지도에 관련된 작업테스트를 하는 도중 찾게된것인데, 내가 소스를 만들어서 실행하니 안됬다.

근데 다운받은 소스를 실행하니..된다..ㅡ.ㅡ;;;

굉장히 당황해서 소스를 좀 수정해보니... toggleFullScreen() 함수 부분에서 예외가 발생하였다.

에러 메세지는...

SecurityError: Error #2152: Full screen mode is not allowed.
at flash.display::Stage/set displayState()

풀스크린모드를 사용할수 없다...;;;;

뭔지 모르고 이것 저것 찾다보니 해외에서 답을 찾았다.

다음 글을 참조하면 좋을듯 하다. [참조글]

FLEX 3 빌더에서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html-template 폴더의 index.template.html 파일에 
allowFullScreen의 값을 지정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다.

자동으로 생성된 index.template.html을 열고 수정을 해주면 문제는 해결된다.

아래는 참고 소스

... 생략 ...

if ( hasProductInstall && !hasRequestedVersion ) {
// DO NOT MODIFY THE FOLLOWING FOUR LINES
// Location visited after installation is complete if installation is required
var MMPlayerType = (isIE == true) ? "ActiveX" : "PlugIn";
var MMredirectURL = window.location;
    document.title = document.title.slice(0, 47) + " - Flash Player Installation";
    var MMdoctitle = document.title;

AC_FL_RunContent(
"src", "playerProductInstall",
"FlashVars", "MMredirectURL="+MMredirectURL+'&MMplayerType='+MMPlayerType+'&MMdoctitle='+MMdoctitle+"",
"width", "${width}",
"height", "${height}",
"align", "middle",
"id", "${application}",
"quality", "high",
"bgcolor", "${bgcolor}",
"name", "${application}",
"allowScriptAccess","sameDomain",
"allowFullScreen", "true",
"type", "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 "http://www.adobe.com/go/getflashplayer"
);
} else if (hasRequestedVersion) {
// if we've detected an acceptable version
// embed the Flash Content SWF when all tests are passed
AC_FL_RunContent(
"src", "${swf}",
"width", "${width}",
"height", "${height}",
"align", "middle",
"id", "${application}",
"quality", "high",
"bgcolor", "${bgcolor}",
"name", "${application}",
"allowScriptAccess","sameDomain",
"allowFullScreen", "true",
"type", "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 "http://www.adobe.com/go/getflashplayer"
);

... 중략 ...

<object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
id="${application}" width="${width}" height="${height}"
codebase="http://fpdownload.macromedia.com/get/flashplayer/current/swflash.cab">
<param name="movie" value="${swf}.swf" />
<param name="quality" value="high" />
<param name="bgcolor" value="${bgcolor}" />
<param name="allowScriptAccess" value="sameDomain" />
<param name="allowFullScreen" value="true" />
<embed src="${swf}.swf" quality="high" bgcolor="${bgcolor}"
width="${width}" height="${height}" name="${application}" align="middle"
play="true"
loop="false"
quality="high"
allowScriptAccess="sameDomain"
allowFullScreen="true"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http://www.adobe.com/go/getflashplayer">
</embed>
</object>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고스트 이미지 파일(ima) 다운로드 할수 있는 곳  
http://blog.naver.com/sod400/120054982861

준비물: 디스켓 1장, cd롬 1장,


1. 고스트2003을 실행 -->ghost유틸리티를 클릭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표준 ghost 부트 디스크 클릭 후  <다음>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다음>


<다음>



시스템에서 고스트 프로그램 위치를 찾아줍니다 <다음>


A드라이버에 디스켓 1장 삽입 후 <다음>

<다음>

디스켓 넣으면 포멧창이 뜸 ....포멧실행 후 <다음>


이 작업이 끝나면 A디스켓에  GHOST폴더와 autoexe.bat를 비롯 6개 화일이 생성됨

참고 이 디스켓으로 부팅하면 고스트가 부팅됩니다. 하지만 cd롬으로 구우면 동작 안됩니다..
cd롬으로 부틴하려면 winimage프로그램으로 이미지 파일을 만들어서 cd롬을 궈야 합니다.
프로그램은 여기서 다운 받아서 하세요 최신버전 winima80.exe 이 있네요  http://winimage.com/download.htm


winimage란 프로그램을 구동 후 disk --> create cd-rom iso image를 클릭하면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디스켓을 읽어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 디스켓내용을 보여주면...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file --> save as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해서 임의의 디렉토리에 저장합니다. 이때 파일형식을 ima로 지정 
(여기선 c:\temp\xp.ima로 저장)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작업이 끝났습니다. winimage를 종료하고 nero를 실행하세요


nero5인데 좌측 cd-rom부트를 클릭하고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이미지 화일에 점 찍으시고 아까 저장한 xp.ima위치를 지정하고 우측 상단의 <새파일>을 크릭합니다 cd에 추가할 file있으면 추가하신 후...이후 작업은 nero굽는식으로 구우면 됩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http://blog.naver.com/lims7878/150020300405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Adrian Parr’s Blog 에 올라온 ActionScript 3.0 Code 라이브러리 모음이다. 매우 유용해서 긁어왔다.

3D Engines

3D Game Engines

3D Animation Framework

3D Physics Engines

Animation Tweening Kits

2D Physics Engines

Security

Audio Libraries

Particle Systems

Data Visualization

Loading Kits

OOP Frameworks

Other APIs and libraries

출처 : http://www.adrianparr.com/?p=83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Tracy Spratt <tspratt@lariatinc.com> 의 아이디어입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 Tree control example. -->

<mx:Application xmlns:mx="http://www.adobe.com/2006/mxml" creationComplete="initApp()">

<mx:Script><![CDATA[

  [Bindable]

  public var _xmlData:XML;

 

  public function initApp():void

  {

    _xmlData = <element eid="hello">

         <element eid="world">

            <element eid="123"/>

            <element eid="graham"/>

            <element eid="weldon">

               <element eid="office">

                  <element eid="thing"/>

                  <element eid="boat"/>

                  <element eid="chair"/>

               </element>

               <element eid="person"/>

                </element>

             </element>

          </element> ;

  

  }//initapp

     

  private function expandParents(xmlNode:XML):void

  {

    while (xmlNode.parent() != null) { 

      xmlNode = xmlNode.parent();

      myTree.expandItem(xmlNode,true, false);

    }

  }//expandParents

 

         

            private function findNodeById(sId:String):void

            {

                        var xmllistDescendants:XMLList  = _xmlData.descendants().(@eid == sId);

                        expandParents(xmllistDescendants[0]);

                        myTree.selectedItem = xmllistDescendants[0];

            }//findNodeById          

]]></mx:Script>

 

 

 

    <mx:Panel title="Tree Control Example" height="75%" width="75%"

        paddingTop="10" paddingLeft="10" paddingRight="10" paddingBottom="10">

        <mx:HBox>

          <mx:TextInput id="tiId" text="boat" />

          <mx:Button label="Find" click="findNodeById(tiId.text)" />        

        </mx:HBox>

        <mx:Tree id="myTree" width="50%" height="100%" labelField="@eid"

            showRoot="false" dataProvider="{_xmlData}" />     

    </mx:Panel>

</mx:Application>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아래 코드를 좀 응용하면 될듯...

var nowDate:Date = new Date();
var sday:String = nowDate.date.toString();
var smonth:String = (nowDate.month+1).toString();

if(sday.length == 1){
sday = "0"+sday;
}
if(smonth.length == 1){
smonth = "0"+smonth
}

snowDate = nowDate.fullYear.toString()+"-"+ smonth +"-"+sday;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SELECT @rownum:=@rownum+1 rownum, t.*
FROM (SELECT @rownum:=0) r, mytable t;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출처 throw new *^^*; | 예영파피
원문 http://blog.naver.com/agapeuni/60064550602 
CCL

reference

한글문서

영문문서

링크

관련툴

<div class="note"> 위키북스에서 출판되는 iBATIS In Action에서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사항에 대해 정보를 제공한다. </div>

샘플코드

  • queryForMap()의 사용예제 - iBATIS사용시 대개의 개발자는 queryForObject와 queryForList를 사용한다. 그래서 queryForMap에 대한 이해나 예제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이해를 돕고자 예제를 제공한다.
  • Procedure 사용예제 - Procedure사용예제를 다룬다. IN, OUT, INOUT타입을 다룬다.
  • iBATIS Error Message - iBATIS를 사용하면서 겪게 되는 에러 메시지.

 

[출처] http://openframework.or.kr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앞글( http://tylee82.tistory.com/62 )에 이어서 클라이언트 작성을 알아보도록 한다.
이글은 머그초보의 블로그( http://mudchobo.tomeii.com/tt/239?category=8 ) 의 글을 참고로 작성됨을 알려드리며, 문제가 발생시 자삭 하겠습니다.

<< service-config.xml파일을 수정 >>

<factories>
  <factory id="springfactory" class="flex.messaging.factory.SpringFactory" /> 
</factories>
를 추가합니다.

<< remote-config.xml 파일을 수정 >>
<destination id="productmanager">
 <properties>
  <factory>springfactory</factory> 
  <source>productManager</source>
 </properties>
</destination> 

자세히 보시면 factory는 위에 service-config.xml파일에 정의한 놈이고, source는 bean이름입니다.
즉 applicationContext.xml파일에 정의한 그 bean이름을 저기에 적어 놓으면 됩니다.
그러면 그 bean을 flex로 가져와서 쓸 수 있습니다.


아 그리고 프로젝트에서 이상하게 contextroot가 WebContent로 되어있는데 프로젝트이름으로 고쳐줍시다-_-; 
---> (원래 WebContent 나오는게 정상 아닌가?? 뭐 난 아무것도 모르는 초보니깐.. 그냥 시키는데로...)

프로젝트 이름에 대고 마우스오른쪽버튼(alt+enter) properties를 선택, Flex Server부분 클릭.
context root를 프로젝트이름(SpringAndBlazeds)으로 바꿔줍시다.


<< FLEX 작성 >>
자 그러면 flex_src에 있는 SpringAndBlazeds.mxml을 수정해봅시다.
SpringAndBlazeds.mxml


<?xml version="1.0" encoding="utf-8"?>
<mx:Application xmlns:mx="http://www.adobe.com/2006/mxml" layout="absolute"
 
applicationComplete="init();">
 
 
<mx:Script>
  <![CDATA[
   import mx.controls.Alert;
   import mx.rpc.events.FaultEvent;
   import mx.rpc.events.ResultEvent;
   import mx.rpc.remoting.RemoteObject;
   
   private function init():void {
    var remoteObject:RemoteObject = new RemoteObject();
    remoteObject.destination = "productmanager";
    remoteObject.addEventListener(ResultEvent.RESULT, resultHandler);
    remoteObject.addEventListener(FaultEvent.FAULT, faultHandler);
    remoteObject.getProducts();
   }
   
   private function resultHandler(event:ResultEvent):void{        
       dg.dataProvider = event.result;  
      }      
   
      private function faultHandler(event:FaultEvent):void{        
       Alert.show("실패 메세지 : " + event.fault.message);  
      }  
  ]]>
 
</mx:Script>
 
 
<mx:DataGrid id="dg" width="100%" height="100%" />
</mx:Application>

간단하게 Manager에 있는 getProducts를 호출해서 DataGrid에 넣는 코드입니다.

<< 실행 >>
이클립스 오른쪽아래에 server에다가 SpringAndBlazeds프로젝트를 추가합니다.
서버에 대고, 오른쪽버튼누르면, Add and Remove Project클릭해서 추가하면 됩니다.
서버를 가동합니다.
Run Flex Application을 실행해봅시다!


 - 후기
이번 예제를 실행하면서 나의 실력에 부족한점을 알아냈다.
  • Spring 프레임워크의 부족한 점 보안 
  • Flex에서 DataBase의 연동시 처리 방법 보안
  • iBatis의 데이터 베이스 정의 및 사용방법 보안
실질적으로 사용을 하기위한 프로젝트로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점을 보안해야 겠지만, 일단 오늘 돌려본 이 예제가 엄청난 도움이 될거라 생각한다. 아직 Spring 프로젝트 경험도 공부도 해본적이 없지만, EJB시스템 및 좀더 거대한 프로젝트를 위해서는 아무래도 공부를 해야겠다.

개인적으로 참 괜찮다고 생각한 DB 처리 java 소스들이 있어서 언제나 그것을 가지고 개발을 했는데, 아무래도 이제는 iBatis를 이용해 봐야겠다. 

FLEX의 컴포넌트 구조도 아는것이 없었는데, 일단 DB와 연동을 시켜봤으니 게시판부터 한번 개발 해보려 한다.

다시한번 머그초보님에게 감사를 표시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